전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헤더 및 전체메뉴 건너뛰기

연도별 연구과제 27 페이지첫페이지로 이동

자료실

성과공유

탭 버튼을 선택하면 분야별로 볼 수 있습니다.

연도별 연구과제

전체 글 수: 2,427 현재 페이지: 27
  • 번호
  • 연도
  • 분야
  • 연구주제
  • 초록보기
  • 원문
  • 번호: 2115
  • 연도: 2024
  • 분야: 공학
  • 연구주제: 친환경 가소제를 이용한 신축성 소재 기반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개발 및 응용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친환경 가소제를 이용한 신축성 소재 기반 마찰대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개발 및 응용 연구주제 영문: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retchable Material-Based Friction Electrification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Eco-Friendly Plasticizers
작성자 국문:성정규,이민성,이위진,임강민 작성자 영문:Jeong Gyu Seong Min Seong Lee Wee Jin Lee Gang min Lim
초록:

본 연구는 친환경 가소제를 사용하여 마찰대전 나노발전기 (Triboelectric Nanogenerator, TENG)출력 성능과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탐구하였다를 가. DBA, DOA, Triethyl Citrate소제로 적용한 의 에너지 생성 효율을 비교한 결과순으로 성능TENG , DBA, DOA, Triethyl Citrate 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이는 가소제의 극성 차이와 분자 크기 및 유연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또한개발된 를 키보드에 적용하여 실생활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TENG 본 연구는 친환경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의 실용화 가능성을 제시하며지속 가능한 에너지 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야기한다.

주제어친환경 가소제마찰대전, TENG, PVC

  • 번호: 2114
  • 연도: 2024
  • 분야: 공학
  • 연구주제: 심박파형분석 기반 모니터링과 NT-ProBNP 이용한 심부전 진단 방식의 단순화 제안 …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심박파형분석 기반 모니터링과 NT-ProBNP 이용한 심부전 진단 방식의 단순화 제안 비색반응을 연구주제 영문:Proposal for Simplifying Heart Failure Diagnosis using Heart Rate Waveform Analysis-based Monitoring and NT-ProBNP Colorimetric Detection
작성자 국문:김지민 김상우 한영빈 작성자 영문:Jimin Kim Sangwoo Kim Youngbin Han
초록:

심혈관질환은 국내외로 이환율과 사망률에 주된 원인 중 하나이다 특히 심부전은 고령화에 기인한 예후가 좋지 않아 현대 사회에서 지속적이고 발전된 연구가 요구된다 이때 기존의 심부전 진단 방법은 침습적이고 환자친화도 편의성 등이 낮게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부전 검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비침습적이고 접근성과 경제성을 확보한 지속가능한 의료에 기여하는 조기진단법과 보다 실용적인 모니터링 방식을 찾는 것을 목표로한다 이를 위해 파형 분석을 통한 심부전 위험 factor을 확인하는 프로그램 제작 ECG , NT-ProBNP의 항체 결합 금나노입자 기반 비색적 검출이라는 연구 과제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제어: Heart Failure, ECG, NT-ProBNP, Ab-AuNPs, Diagnosis

  • 번호: 2113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코어쉘 퀀텀닷 기반 3차원 페로브스카이트 활성층 적층 거동 및 태양전지에의 응용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코어쉘 퀀텀닷 기반 3차원 페로브스카이트 활성층 적층 거동 및 태양전지에의 응용 연구 연구주제 영문:Core-shell Quantum Dot based 3D Perovskite Active Layer Deposition and its Solar Cell
작성자 국문:박지훈․장재원 작성자 영문:park ji hoon․jang jae won
초록:

본 연구는 anti-solvent로써 Ligand-assisted reprecipitation process (LARP)기반 CsPbBr3@SiOx core-shell perovskite quantum dot을 이용하고 해당물질의 농도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grain 크기와 광전환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농도를 가진 페로브스카이트 QD을 이용해 태양전지를 제작하고 표면의 결정립 크기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태양전지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광전변환 효율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QD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grain size도 증가한다고 나타났고 태양전지의 효율은 특정한 QD농도에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QD 농도가 페로브스카이트의 미세구조 및 전기적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최적의 QD 농도를 설정함으로써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개발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주제어: perovskite, Quantum Dot

  • 번호: 2112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다차원 페로브스카이트간 상호 작용 기반 분광학 거동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다차원 페로브스카이트간 상호 작용 기반 분광학 거동 연구 연구주제 영문:Spectroscopic Studies among Multidimensional Perovskites and their interactions
작성자 국문:남광록⦁김지헌⦁박전한결 작성자 영문:Jiheon Kim․JeonHangyeol Park․Gwangkrok Nam
초록: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지니는 물질의 일종이다. 매우 뛰어난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다.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를 3D bulk와 0D Quantum Dot으로 이용한 전극(이하 Cell)을 만들어 Annealing Time을 다르게 하여 광학적 특성의 변화와 0D Quantum Dot의 변형을 관찰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Annealing Time이 길어짐에 따라 Grain(또는 입자)의 크기는 변하지만, 결정 구조는 변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Quantum Dot이 730nm~740nm 파장의 빛에서 흡광도의 피크가 나타난다.
주제어: Halide Perovskite, Quantum Dot, Absorbance, PL intensity, interaction

  • 번호: 2111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금속유기구조체를 이용한 의약물질의 흡착 제거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금속유기구조체를 이용한 의약물질의 흡착 제거 연구주제 영문:Adsorptive removal of pharmaceuticals in metal-organic frameworks
작성자 국문:박유민․이강욱․이준우 작성자 영문:Park Eu-min․Lee Kang-wook․Lee Joon-woo
초록:

연구에서는 항염증제인 나프록센(Naproxen)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금속-유기 구조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s)를 합성하고자 했다. MOFs는 금속 이온 또는 금속 클러스터와 유기 리간드가 결합하여 형성되는 다차원 구조체로, 넓은 비표면적과 조절 가능한 기공 크기로 인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테레프탈산 유도체와 금속 이온을
조합하여 새로운 MOFs를 합성하고, 이들의 나프록센 흡착 성능을 평가하였다. 특히, MOFs의 구조적 특성과 표면 작용기가 나프록센의 흡착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특정 작용기를 도입한 MOFs가 나프록센에 대해 우수한 흡착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나프록센과 같은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한 MOFs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금속-유기 골격체, 다공성 물질, 나프록센, 흡착, 수질 정화

  • 번호: 2110
  • 연도: 2024
  • 분야: 정보
  • 연구주제: 딥러닝을 위한 효율적인 연산기 설계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딥러닝을 위한 효율적인 연산기 설계 연구 연구주제 영문:Research about Designing Effective Caculator for Deep Learning
작성자 국문:최우창·정석현·박한회 작성자 영문:Choi Uchang-Jung Seokhyun Park Hanhee
초록:

우리는 AI에 데이터를 학습시켜 정확도가 높은 AI를 만든다. 이번 연구에서 학습은 약간의 오차 를 가진 덧셈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학습을 하는 방법을 변형시켜 더 효율적인 방법을 고안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AI의 학습의 결과는 효율성과 높은 정확도를 가져야한다. 즉 시간도 덜 걸리고 에너지도 덜 쓰는 효율적이고, 정확도가 높은 방법을 2가지를 고안했다. 두 방법 다 LOA방식의 덧셈 방식을 기반으로 정확한 덧셈 bit의 덧셈 방법을 변형하여 더 효율적인 연산기를 만들었다. 두 방법들을 모두 정확한 덧셈 비트를 4개로 고정하고 다음 bit위치에 적용시켰을 때는 정확도 에 문제 없이 작동했고, 2bit부터 정확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등 결과를 비교하여 기존보다 더 효 율적인 연산기를 고안했다.

  • 번호: 2109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프롤린 아미노산에 의한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의 세포 내 투과 향상 메커니즘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프롤린 아미노산에 의한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의 세포 내 투과 향상 메커니즘 연구 연구주제 영문:Study on the Mechanism of Enhanced Cellular Penetration of Cell-Penetrating Peptides by Proline Amino Acid
작성자 국문:강효영․신민석․전지우 작성자 영문:Kang hyo young․Shin min seok․jeon ji woo
초록: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Cell-penetrating peptides, CPPs)는 다양한 생체 분자 및 치료 물질의 세포 내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다. 특히 프롤린(Proline) 아미노산이 CPP의 세포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보고가 있지만, 그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롤린이 포함된 CPP가 세포막을 통과하는 과정과 그 효과를 분자 수준에서 분석하여, 프롤린이 세포 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프롤린이 펩타이드의 구조적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CPP가 세포막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세포 내 투과성을 향상시킨다는 분석을 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롤린이 특정 환경에서 펩타이드의 입체구조를 변화시켜 세포 내로의 효과적인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프롤린 기반의 CPP 설계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효과적인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프롤린,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 세포 내 투과성, 약물 전달, 구조적 유연성

  • 번호: 2108
  • 연도: 2024
  • 분야: 수학
  • 연구주제: 헐위츠 다항식환에서의 산술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헐위츠 다항식환에서의 산술 연구주제 영문:On the calculation in Hurwitz polynomial rings
작성자 국문:권민재․김나린 작성자 영문:Minjae Kwon․Narin Kim
초록:

이 논문은 헐위츠 다항식의 인수분해를 다루기 위해 헐위츠 다항식환 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가 정역, 주 아이디얼 정역(PID), 그리고 유클리드 정역(ED)일 동치 조건을 찾고, 이러한 조건들이 헐위츠 다항식의 인수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증명한다. 먼저, 환 이론의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 정역이 될 필요충분조건을 도출한다. 이어서, PID와 ED가 될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들 조건이 어떻게 상호 연관되는지 분석한다. 또한, 각 조건이 성립할 때 헐위츠 다항식의 인수분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체적인 예를 통해 설명한다. 이러한 연구는 헐위츠 다항식의 인수분해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수론적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 번호: 2107
  • 연도: 2024
  • 분야: 수학
  • 연구주제: 비결합 대수를 활용한 매듭의 분류: Fox 채색을 넘어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비결합 대수를 활용한 매듭의 분류: Fox 채색을 넘어 연구주제 영문:Non-associative algebras in knot theory: Beyond Fox coloring
작성자 국문:이조슈아․이종현․장준서 작성자 영문:Joshua Lee․Jonghyun Lee․Junseo Jang
초록:

매듭 이론은 3차원 공간상의 매듭과 고리의 구조적 특성과 그 활용을 연구하는 수학의 중요한 한 연구 분야로서 저차원 다양체의 연구뿐만 아니라 물리학, 생물학, 화학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도 그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한편, 퀀들 이론은 자기 분배법칙을 만족하는 대수적 구조에 대한 이론으로, 매듭 이론의 연구와 더불어 비결합 대수학의 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매듭의 Fox -채색과 더불어 그것을 일반화한 퀀들 채색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을 탐구한다. 또한, 이를 활용한 조합적 매듭 불변량을 활용하여 매듭과 고리의 위상수학적 특징을 분석하고 비교하며 새로운 매듭 분류 방법론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주제어: 매듭, 매듭의 분류, Fox -채색, 퀀들(quandle)

  • 번호: 2106
  • 연도: 2024
  • 분야: 수학
  • 연구주제: 미로 찾기 게임을 이용한 4차원 개념의 이해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미로 찾기 게임을 이용한 4차원 개념의 이해 연구주제 영문: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our Dimensions through a Maze Game
작성자 국문:김민성, 이동윤, 정진 작성자 영문:Minsung Kim Dong Yoon Lee Jinu Jung
초록:

본 연구는 4차원 공간을 미로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4차원의 개념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 를 도우는 방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4차원 공간을 4개의 3차원 공간으로 사 영한 인터페이스를 pygame을 통해 프로그래밍하였으며,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좌표가 변화하며 1차원 미로 공간을 이동할 수 있다. 테서랙트의 하위 셀인 정육면체의 여섯 개 중 비로 구조에서 뚫려 있는 여부를 색으로 표현함으로써, 각 3차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가 4차원 미로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직관적인 이해가 어려운 4차원 공간에 대한 이해 를 도우고 이를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현하여 인간의 공간 인식의 한계를 일부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주제어: 4차원, pygame, 미로, 테서렉트

  • 번호: 2105
  • 연도: 2024
  • 분야: 수학
  • 연구주제: 가우스 다항식환에서의 인수분해에 대하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가우스 다항식환에서의 인수분해에 대하여 연구주제 영문:On the factorization in Gaussian polynomial rings
작성자 국문:김세홍․이선재․우민준 작성자 영문:Sehong Kim․Sunjae Rhee․Minjun Woo
초록:

가우스 다항식환에서의 인수분해는 다항식의 대수적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주제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가우스 다항식환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그 기반이 되는 헐위츠 다항식환에서의 성질을 간단하게 알아본다. 또한 헐위츠 다항식환은 다항식의 인수분해와 관련된 여러 중요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이 가우스 다항식환에서도 적용되는지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다항식에 대해 인수분해 가능성을 조사하고, 헐위츠 다항식환에서 확인한 인수분해 가능성을 가우스 다항식환으로 확장하여 여러 다항식의 인수분해 가능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한다. 결론적으로, 향후 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보고서를 통해 다항식의 대수적 성질에 대한 이해를 더욱 깊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가우스 다항식환, 인수분해, 기약다항식

  • 번호: 2104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암세포 진단을 위한 암세포 특이적 miRNA 세포추출과 검증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암세포 진단을 위한 암세포 특이적 miRNA 세포추출과 검증 연구주제 영문:Cancer-specific miRNA extraction and validation for cancer diagnosis
작성자 국문:김태연ㆍ박서윤ㆍ최소율 작성자 영문:kim taeyeonㆍpark seoyoonㆍchoi soyul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에서 비정상적으로 과발현하는 특정 miRNA 세포를 추출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암 진단 및 치료의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계대 배양을 통해 암세포를 증식시키고 miRNA를 추출한 후, 분광광도계와 PAG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분석을 통해 miRNA의 농도, 순도, 분자량 및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특정 miRNA(miRNA-21)가
많이 발현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miRNA-21이 유방암 진단 및 치료의 유망한 바이오마커로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암세포, miRNA, 바이오마커, 암 진단, 세포추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