탭 버튼을 선택하면 분야별로 볼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벤젠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해 방향족 탄화수소 분해능이 있다고 알려진 Pseudomonas veronii를 활용했다. 이 균의 벤젠 분해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탄소원을 제거한 MM 배지에서 탄소원이 될 벤젠을 기체상으로 공급하며 균을 배양함으로써 벤젠을 탄소원으로 하여 생존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벤젠이 함유된 토양에서 배양한 뒤 분광광도법으로 잔류 벤젠 농도를 구해 토양에 혼합된 벤젠에 대한 분해능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세균을 넣은 토양에서 벤젠의 양이 적을수록 벤젠이 많이 감소한 추세를 보였고, 해당 균이 벤젠 분해능이 있다고 판단했다. 본연구는 벤젠에 의한 토양오염이 이 균을 통해 완화될 가능성을 보인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균을 활용한 벤젠 제거 기계설비를 제작하여 토양오염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주제어: 토양오염, 벤젠, 벤젠 분해, 미생물
최근 들어서 모빌리티(차, 지하철 등)가 많이 이용되면서 그 핵심 기술인 이차전지 기술이 중요해 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차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기술에 관한 연구는 필요성을 따라오지 못한 다. 과일 전지를 활용해 R카 구동을 시도한 이후 AA 배터리와 전압, 전류의 세기, 무게 등의 물리 량을 측정하였고, 정량적 비교 분석을 통해 과일 전지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여러 과일 전지의 효율을 높일 방법들을 직접 실험 해보면서 무게당 전력을 비교하여,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전지 제작 방법을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레몬을 조각내어 파라 필름으로 묶어낸 것과 레몬즙을 E 튜브에 넣어서 연결하는 방식이 무게당 전력도 높으면서 직, 병렬 회로 등에 활용하기 용이했다. 또한, 전지에 젤라틴을 이용하면 형태와 전지의 효율을 유지하면서 실용성을 높일 수 있었다. 주제어: 과일 전지, 무게당 전력, 효율
이 연구는 P2P Overlay Network의 일종인 IPFS를 활용하여 탈 중앙화된 요양 보조 서비스, 구체적으로 행동 기록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증가하는 노인 인구 속에서 보호사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느꼈기에 이를 극복하고자 AI와 탈 중앙화 기술을 접목시킨 서비스의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IPFS 구현체인 Helia와 MQTT 구현체인 Mosquitto를 이용하여 P2P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이후 rule-based과 machine learning 기반의 모델을 제작하여 동작을 기계가 스스로 판단하도록 하였다. 주제어: IoT, IPFS, 요양 서비스, MQTT, machine learning
본 연구에서는 그람 염색법을 시행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정리하였으며, 문제점을 바탕으로 더 개선된 세균의 동정 방법을 고안하여 항생제를 활용한 세균 동정 방법을 대체 방안으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성과 음성균에 각각 다르게 작용하는 항생제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 이신을 이용하여 두 종류를 선정하여 항생제의 작용 효과로 세균을 동정하는 방법을 택해 실험을 진행하였고 항생제를 이용한 세균 동정의 방법을 정리하여 기존 그람 염색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한 결과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이신을 사용한 그람 양성 음성 판별실험에서 그람양성균의 경우 페니실린 처리에서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그람음성균의 경우 스트렙토마이신 처리에서 성장이 저해되는 것을 관찰하여 세균 동정에 활용할 가능성을 확인했다. 주제어: 항생제, 그람 염색법,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세균 동정
현재 새로운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과 자원 탐색을 하기 위해서는 우주여행을 필수로 한다. 하지만 우주여행 후 우주 비행사들에게 대뇌피질과 다른 뇌 영역과의 연결성 감소, 뇌척수액 분포 변화 등인지 및 운동기능 저하 현상이 일어난다. 본 연구는 우주 환경에 따른 뇌 기능 변화를 확인하고, 인지기능 및 운동기능 저하 현상의 치료 가능성을 확인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수두증 치료에 효능을 가진 인진오령산을 사용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Rat에게 4G의 고중력을 가한 후 Y-maze와 Rota-rod test를 진행하여 인지기능과 운동기능을 각각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인진오령산을 투여한 군이 투여하지 않은 군보다 운동기능 및 작업 기억 능력이 개선되었다. 이 실험을 통해 인진오령산이 이후 개발될 인지 및 운동기능의 치료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인지 및 운동기능 저하의 예방에 기여할 것이다. 주제어: 인지기능, 우주 생명과학, 인진 오령산, 한방치료
농작물을 감염시키는 병원균은 매개 곤충에 의해 퍼지기 쉬우며, 주변에 재배중인 식물들을 폐기 하거나 각종 화학 약품을 사용한 철저한 방역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식물체 자체에 영향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토양을 오염시키고 주변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물 재배에 큰 손해를 안길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호르몬인 브라시노스테로이드 (brassinossteroid, 이하 BR)와 살리실산(salicylic acid, 이하 SA)의 항병원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BR과 SA가 Xanthomonas euvesicatoria에 의해 토마토에서 발병하는 고추세균점무늬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두 호르몬 투여 결과를 비교해 앞으로 호르몬의 식물 치료제로서의 가능성과 효용성에 대해 탐구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BR과 SA가 모두 식물의 생장 및 스트레스 저감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항병원성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주제어: Xanthomonas euvesicatoria, 브라시노스테로이드, 살리실산
본 연구는 소형 발사체, 특히 소형 로켓의 무게중심이 발사 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중점을 두었다. 로켓 발사 시 무게중심의 위치는 비행 안정성 및 비거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를 최적화함으로써 발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무게중심 위치에서의 비행 특성을 시뮬레이션하고, 각 위치가 발사 거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이론적 계산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시간적 문제로 목적했던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이루 어지지 않았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 경험한 로켓 제작과 관련된 시행착오와 분석은 향후 로켓 설계 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주제어: 소형 발사체, 로켓, KNSB, 무게중심, 발사 거리
이 논문의 연구는 생체 모방 기술을 적용하여 낙하 속도를 지연시키는 방안에 대해 다루고 있다. 최근 로켓 재사용 트렌드를 기반으로 프로펠러를 통해 공기역학적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낙하 속도를 낮출 수 있는지 연구했다. 단풍나무 씨앗의 자동회전 원리를 모방하여, 다양한 각도의 날개 구조를 설계하여 캔셋의 낙하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했다. 실험 결과, 프로펠러 각도가 15도일 때가장 높은 양력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항력을 줄이고 안정적인 착륙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일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로켓 재사용과 캔셋의 안정적 회수 기술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용 절감 및 효율성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지닌다. 주제어: 생체모방기술, 자동회전 이론, 단풍나무 씨앗, 블레이드 모델
출혈량이 많은 상황에서는 파우더형 지혈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각광받는 돼지간, 피부 등의 생체 조직을 사용하여 탈세포화한 세포외기질(decellularized extracellular matrix, dECM)을 만들어 지혈제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돼지 간, 피부를 이용하여 탈세포화를 진행하였고, 동결건조하여 펩신을 사용해 녹인 후 다시 동결건조하여 파우더 형으로 제형하였다. HBT(Hemoglobin binding test), TEG test(Thromboelastography test), Hemolysis test를 통하여 제조한 파우더형 지혈제(pECM)의 지혈 정도, 혈액 적합성을 확인해 보았다. HBT 결과 음성대조군과 카올린보다 높은 BCI 값을 보였고, TEG test 결과 혈액 응고 능력이 존재했으나 혈액적합성 면에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세포외기질, 탈세포화, 지혈제, 혈액적합성
본 연구에서는 효소 반응의 평형에 대한 용매의 영향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전 연 구에서 셀룰레이스 효소의 활성을 물과 에탄올에서 분석하여 속도론적 관점과 평형상수의 관점에서 물과 에탄올 반응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용매와 용질의 친화도에 따른 평형상수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검증하기 위해물,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1-뷰탄올, DMSO, 에틸렌글리콜 등 다양한 유기용매를 사용하였다. 증발과 거름을 통해 포도당만을 분리하여, DNS법을 이용하여 포도당의 농도를 측정해 각 용매에서 포도당의 용해도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용매에 대한 포도당의 용해도가 클수록 반응의 평형상수가 크게 나타났고 그 상관계수가 0.9741이기에 용해도가 큰 용매일수록 용질의 안정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주제어: 셀룰레이스, 용해도, DNS-분석
본 연구에서는 물질의 효과를 알기 위해서와 같이 물질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상황에서 물질을 분리하지 않고, 물질의 성분비를 알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혼합물을 훼손하지 않고 분광법을 이용하여 구성 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기획했고, 대상 물질로는 다루기 쉬운 유기화합 물이면서 이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이 있는 향수 분야를 다뤘다. 실험에서는 방향화합물 원료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만들고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과 핵자기공명분광법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혼합물 내 성분 분석을 시도했고, 일치율을 확인하였다. 또,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물질을 재현할수 있는 기기를 제작하였다. 핵자기공명분광법을 사용하여 혼합물 내 구성 후보 물질을 판별하는 정성적 분석을 진행했고,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을 사용하여 구성 후보 물질의 혼합 농도비를 계산하는 정량적 분석을 진행하여 안정적인 수준의 정성적 분석과 더불어 높은 수준의 정량적 분석까지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주제어: 핵자기공명분광법,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방향화합물, 구성 물질 분석, 재현 기기 제작
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한 로켓용 고체연료 설계를 고찰하였다. 알루미늄은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로켓 연료로 많이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알루미늄을 이용한 고체연료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했다. 먼저 당알코올, 산화제를 적절한 비율로 섞어 연료를 만들었다. 이후 한 연료 에만 연소 시작 부분에 재활용 알루미늄 분말을 첨가했다. 그 다음, 이 연료를 사용한 로켓의 연소 가능 여부와 연소 시간을 측정하고, 연소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확인했다. 실험 결과, 알루미늄 기반 연료는 기존의 고체연료보다 더 강한 추진력을 보여주었으며, 더 긴 연소 시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체연료의 안전성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알루미늄, 고체연료, 재활용, 로켓,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