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헤더 및 전체메뉴 건너뛰기

연도별 연구과제 1 페이지첫페이지로 이동

자료실

성과공유

탭 버튼을 선택하면 분야별로 볼 수 있습니다.

연도별 연구과제

전체 글 수: 2,427 현재 페이지: 1
  • 번호
  • 연도
  • 분야
  • 연구주제
  • 초록보기
  • 원문
  • 번호: 2427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회귀분석을 통한 음료수 분류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회귀분석을 통한 음료수 분류 연구주제 영문:Beverage classification with regression
작성자 국문:강승현•김주헌•김현민 / 경기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ang Seung Hyun • Kim Ju Hun • Kim Hyun Min / Gyeonggi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음료수 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활용한 분류 알고리즘을 개발 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pH, Cu,K, Ca,P04, 카페인 농도 6개의 주요 특 성을 기반으로 이온음료,탄산음료,유제품,카페인 음료의 4가지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모델을 구축 하였다. 총 12개의 샘플 데이터(각 카테고리별 3개 샘플)를 사용하여 모델을 학습하고,1000개의 데 이터 증강을 통해 학습 데이터를 확장하였다. 또한,교차검증을 통해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고,반복 적인 학습을 통해 정확도와 다른 성능 지표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이후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활 용한 분류 문제에 대해 분석하고,향후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를 제공한다.

준젠어: 음료수,로지스틱 회귀 분석,OvR 기법

  • 번호: 2426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전파간섭계 배열에 따른 효율 비교 분석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전파간섭계 배열에 따른 효율 비교 분석 연구주제 영문:Comparative Analysis of Efficiency according to Radio Interferrometer Array
작성자 국문:김경빈 • 이윤지 • 이용건 / 경기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Gyungbin Kim • Yoonji Lee • Yonggeon Lee / Gveonggi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해당 연구는 전파간섭계 배열의 효율에 대하여 탐하였다. 전파천문학 책이나 전파간섭계 관련된 여러 논문들에서 전파간섭계 배열 중 대표적인 Y형, 원형, 직선형 배열에 대하여 효율이 어떤지 알려져 있다. Y형 배열은 다양한 각도에서 우수한 분해능을 제공하고, 원형배열은 균일한 분해능을 제공, 그리고 직선형은 특정 방향에서만 높은 분해능을 제공한다는 특징이다. 전파간섭계 구축 시 효을은 매우 중요하므로, 이러한 배열들의 데이터를 전파천문학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인 CASA(Common Astronomy Software Applications)를 사용하여 직접 비교해 보고, 앞서 설명했던 배열에 대해 알려진 것들 이 사실인지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이 세 개의 배열을 확장하여 동일한 안테나 수의 조건에서 ‘팔의 개수’에 따른 효율을 비교해 보았다. CASA 프로그램의 한국어 가이드가 없기 때문에, 연구를 진행하면서 사용한 기능인 Plotms와 Simobserve에 대하여 사용법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주제어: 전파간섭계, 전파간섭계 배열, CASA

  • 번호: 2425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이끼의 특징과 내생균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이끼의 특징과 내생균 탐구 연구주제 영문:The character and endophytic fungi of moss
작성자 국문:경승현․이준호 / 대전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Seunghyun Kyung․Junho Lee / Dajeon Science High School
초록:

이끼는 선택식물에 속하는 비관다발식물로, 미세먼지 제거, 온도 저감, 소음 감소 등 다양한 환경적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자식물과 나자식물에 비해 선태식물인 이끼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끼의 구조, 염기서열, 그리고 내생균과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기 위해 여러 종의 이끼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채집된 가는윤이끼, 쥐꼬리이끼, 참외이끼, 나선이끼와 구입한 서리이끼, 가는흰털이끼의 구조적 특징을 광학현미경을 통해 관찰하고, 각 이끼의 엽록체 분포와 세포 구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DNA 추출 및 PCR을 통해 분자적 종동정을 시도하였고, 이끼 내생균의 배양과 계대배양을 통해 균사가 자라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후에는 이끼 및 내생균의 DNA 바코팅을 진행하여 종 동정을 진행하고자 한다.

주제어: 이끼(moss), 내생균(endophytic fungi)

  • 번호: 2424
  • 연도: 2024
  • 분야: 지구과학
  • 연구주제: 탄산칼슘 형성 미생물을 이용한 중금속과 방사성 물질의 제거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탄산칼슘 형성 미생물을 이용한 중금속과 방사성 물질의 제거 연구주제 영문:Removal of Heavy Metals and Radioactive Substances Using Calcium Carbonate-Forming Microorganisms
작성자 국문:강영민 류시완 이지한 신유찬 / 전남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Jeonnam Science High School
초록:

중금속 오염은 생태계와 공공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며 이를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으로 제 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접근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탄산칼슘 형성 미생물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Bacillus cereus) 의 생광물화 과정을 통 하여 오염수를 정화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산성 광산 배수 속 카드뮴과 핵폐기물에서 나오는 세슘을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바실러스 균은 우레 아제(urease)를 이용하여 요소를 분해한다. 이 분해과정에서 생성된 암모니아를 이온화 시켜 알칼 리성 환경을 조성하며, 마찬가지로 분해 중 생성된 이산화탄소로 탄산이온을 형성하고 칼슘이온과 반응시켜 탄산칼슘 침전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는 미생물 형성 탄산칼슘이 나타내는 구조와 중금속 오염 후 구조를 SEM과 ICP 분석 을 통하여 비교하여 오염 제거 능력을 밝혀내고자 했다.

주제어: MICP, 산성광산배수, 탄산칼슘, 중금속, 방사성물질

  • 번호: 2423
  • 연도: 2024
  • 분야: 공학
  • 연구주제: 폴더블 전자기기의 전원장치의 결점 보완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폴더블 전자기기의 전원장치의 결점 보완 연구주제 영문:improving the shortcomings of the power supply of foldable electronic devices
작성자 국문:박서현, 박종원, 박승재 / 울산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박종원, 박승재, 박서현 / Ulsan Science High School
초록:

우리 연구는 노트북 전원이 갑자기 꺼지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시작했다. 노트북의 스크린을 덮을 때 센서가 스크린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특정 각도에 다다르면 전원이 꺼지도록 반응하게 되는데 이는 외부 자기장에 의한 오류가 종종 발생한다.이의 개선을 위해 우리는 3축 자기장 센서와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스크린을 덮다가 전원이 꺼지는 순간의 벡터합을 구했고, 꺼지는 순간의 벡터합과 비슷한 측정값이 측정되는 순간 OFF를 함께 출력하도록 코드를 제작했다. 연구 결과, 스크린의 접기 속도, 온도 등 다양한 변수에 대해서도 테스트를 거쳐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주제어: 자기장 센서, 기울기 센서, 아두이노

  • 번호: 2422
  • 연도: 2024
  • 분야: 공학
  • 연구주제: 건물 지붕의 색이 온실효과에 미치는 영향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건물 지붕의 색이 온실효과에 미치는 영향 탐구 연구주제 영문:The Effect of the Color of Buildings on the Greenhouse Effect
작성자 국문:이슬기, 임정민, 이다빈 / 울산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이슬기, 임정민, 이다빈 / Ulsan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건물 지붕의 색이 온실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구온난화의 심화 에 따라 지구 표면 온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색의 반사율을 탐구하였으며, 특히 울트라 화 이트와 반타블랙과 같은 극한의 반사 및 흡수율을 가진 물질에 주목하였다. 실험에서는 빛의 삼원색(빨 강, 초록, 파랑)과 거울, 반사필름, A4용지 등 여러 매질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색상 및 표면 재질에 따른 반사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정밀한 빛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온실효 과 완화를 위한 건물 지붕의 최적 색상과 디자인 방향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온실효과, 빛의 반사율, 색, 건물

  • 번호: 2421
  • 연도: 2024
  • 분야: 수학
  • 연구주제: Pythagorean triple에서 나타나는 수열에 관한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Pythagorean triple에서 나타나는 수열에 관한 연구 연구주제 영문:A study on the sequence appearing in Pythagorean Triple
작성자 국문:김태훈 / 울산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Taehoon Kim / Ulsan Science High School
초록:

Pythagorean triple은 정수론, 대수학, 기하학 등에서 수 세기동안 연구되어 왔고, 다양한 특징과 규칙성이 발견되어 왔다. 본 논문은 Pythagorean triple를 특별한 방법으로 나열하였을 때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수열 형태의 규칙성이 나타남을 밝혀낸다. 직각삼각형에서 세 변의 길이가 모두 양의 정수일 때, 빗변 길이와 높이의 길이 차가 같은 무수히 많은 직각삼각형을 밑변 길이에 대하여 오름차순으로 나열하면 밑변 길이는 등차수열을, 빗변 길이는 계차수열이 등차수열인 수열을 이룬다는 사실이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패턴은 향후 연구에 Pythagorean triple의 새로운 속성과 잠재적 규칙성을 발견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디오판토스 방정식으로 확장하여 정수론 연구 및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

주제어: Pythagorean Triple, 피타고라스 정리, 정수론, 수열, 규칙성

  • 번호: 2420
  • 연도: 2024
  • 분야: 지구과학
  • 연구주제: 해양 산성화 조건에서 침편모조류의 생장률 변화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해양 산성화 조건에서 침편모조류의 생장률 변화 연구주제 영문:Changes in growth rates of Raphidophyceae under ocean acidification
작성자 국문:김주하 ․정의빈․강이채 / 전남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im Juha․Jeong Euibin․Kang Yichae /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침편모조류를 이용하여 다양한 pH 조건에서 이들의 성장률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양 산성화가 해조류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해양 산성화가 해양과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을 평가하고, 향후 해양 생태계 변화에 대한 예측 및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제어: 해양 산성화, pH, 침편모조류, 성장률 변화, 해양 생태계

  • 번호: 2419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습식방법과 나노입자를 이용한 카이랄 분자 검출 센서 제작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습식방법과 나노입자를 이용한 카이랄 분자 검출 센서 제작 연구주제 영문:Fabrication of chiral molecule detection sensors using wet methods and nanoparticles
작성자 국문:구동준, 곽도윤, 이현규, 최준서 / 전남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oo Dongjun, Kwak Doyun, Lee Hyungyu, Choi Joonseo / Joennam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나노입자들을 합성하고 이를 표지물질을 활용하여 카이랄 분자를 높은 민감도로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페닐알라닌을 표지 물질로 활용해 SERS를 촬영, 센서를 제작하는 시도를 했다. 현재 카이랄 금 나노입자와 셀룰로스 나노 결정과 같은 차세대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분야에서 분자의 카이랄성을 감지하는 기술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친환경 소재를 활용하여 빛과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는 방식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카이랄 광학 소재 연구는 초전도체 및 광통신을 포함한 여러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거울상 이성질체, 카이랄 분자, 표지물질, SERS 분광법

  • 번호: 2418
  • 연도: 2024
  • 분야: 수학
  • 연구주제: 회전변환행렬을 이용한 n차원 회전이동의 정의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회전변환행렬을 이용한 n차원 회전이동의 정의 연구주제 영문:Definition of n-dimensional rotation using quaternions and rotation transformation matrix
작성자 국문:고나연․서예준․이현찬․전지후 / 전남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o Nayeon․Seo Yejun․Lee Hyeonchan․Jeon Jihoo / Joennam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에서는 회전변환행렬을 이용하여 다차원에서 새로운 회전이동을 정의하고, 새로운 회전이동의 성질을 탐구하였다. 기존의 회전이동의 성질과 비교하여 새로운 회전이동이 직교행렬이라는 점에서 회전으로써의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 성질을 코딩을 통해 증명했다. 새로운 회전이동은 행렬의 곱셈으로 나타내면 간단해 보이지만, 최종 행렬은 굉장히 복잡하다. 그러기에 Rodrigues’ 회전 공식과 같은 더 쉬운 정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모든 평면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는 것에서 추후 컴퓨터 그래픽스, 로봇팔 회전 등에 활용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주제어: 회전변환행렬, n차원 회전, 선형대수학, Rodrigues’ 회전 공식, 고차원 변환

  • 번호: 2417
  • 연도: 2024
  • 분야: 물리
  • 연구주제: 정n각기둥 텐세그리티의 내구성 분석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정n각기둥 텐세그리티의 내구성 분석 연구주제 영문:Durability Analysis of regular n-sided prism Tensegrity Structures
작성자 국문:박동현․김효준․서우진․박현서 / 전남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Dong Hyun Park․Hyo Jun Kim․Woo Jin Seo․Hyun Seo Park / Jeonnam Science High School
초록:

3D 프린터를 통해 정다각기둥 모양의 텐세그리티를 프린트 한 후 재료역학 실험 장치를 통해 압축 시험을 진행하여 텐세그리티의 내구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삼각기둥, 정사각기둥, 정육각기둥, 원기둥 모양의 텐세그리티를 제작하여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압축력과 붕괴지점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건축물에 적용기에 적합한 텐세그리티 구조를 탐색해보려한다.

주제어: 텐세그리티, 압축강도, 편심하중, 압축하중

  • 번호: 2416
  • 연도: 2024
  • 분야: 물리
  • 연구주제: 물체 표면에서의 풍향의 변화 예측 및 경향성 비교를 통한 바람이 가장 잘 퍼지는 모델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물체 표면에서의 풍향의 변화 예측 및 경향성 비교를 통한 바람이 가장 잘 퍼지는 모델 연구 연구주제 영문:A Study of best wind spread model by predicting changes in wind direction at convex or curved surface
작성자 국문:최원우․류서진․이인성․양효찬 / 전남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Won-Woo Choi․Seo-Jin Ryu․In-Seong Lee․Hyo-Chan Yang / Jeonnam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코안다 효과를 활용하여 물체 표면에서의 풍향 변화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바람이 가장 효과적으로 퍼지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안다 효과란 유체가 물체와 밀착한 상태로 이동하다가, 물체를 떠날 때 유체의 흐름이 물체 방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공기역학적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물체 표면을 대상으로 풍동 실험 장치를 이용해 유동을 해석하며, 표면 구조에 따른, 유속에 따른 풍향 변화를 비교 분석한다. 분석 결과, 특정 곡면의 모델이 바람을 잘 퍼뜨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향후 선풍기나 에어컨 항공기의 날개나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바람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설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코안다 효과, 베르누이 정리, 풍동 실험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