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헤더 및 전체메뉴 건너뛰기

연도별 연구과제 2 페이지첫페이지로 이동

자료실

성과공유

탭 버튼을 선택하면 분야별로 볼 수 있습니다.

연도별 연구과제

전체 글 수: 2,420 현재 페이지: 2
  • 번호
  • 연도
  • 분야
  • 연구주제
  • 초록보기
  • 원문
  • 번호: 2408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곡면에서 미끄러지는 물체의 움직임 예측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곡면에서 미끄러지는 물체의 움직임 예측 연구주제 영문:Predicting the motion of objects sliding on a curved surface
작성자 국문:김예은, 양선홍, 조현준 / 제주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Yeeun Kim, Seonhong Yang, Hyeonjoon Cho / Jeju Science High School
초록:

이전 연구에서는 곡면에서 물체의 움직임 예측을 시도 하였으나, 해당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규명 하지 못하여 예측에 실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를 보완하여 곡면에서 작용하는 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곡선과는 달리 곡면에서는 이동 경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운동을 규명하는데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곡면에서의 물체의 운동을 시뮬레이션으로 제작하고자 한 다. 방정식이 x²+y²+z²=20² 인 곡면에서 쇠구슬의 움직임을 Tracker를 사용하여 물체의 움직임 을 (x, y) 좌표로 추적하고 단위 시간당 좌표를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시간에 대한 x, y 이동 경 로 함수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시간에 대한 z 이동 경로 함수를 유도하고 각 경로 함수를 시간에 대미분한다. 이후, z(t)를 일대일 대응 함수로 변형해 해당 z 좌표에 해당하는 시간을 구한다. 각 시간 별 x, y, z 좌표를 얻고, 이를 통해 단위 벡터와 에너지 보존법칙으로 속도와 가속도를 계산하 여 총 힘 벡터를 구하고 중력을 제거해 좌표에서의 수직항력을 도출한다.

주제어: 수직항력, 에너지보존법칙, 곡면, 수치해석

  • 번호: 2407
  • 연도: 2024
  • 분야: 정보
  • 연구주제: 드론 최적 비행경로 탐색을 위한 강화학습 알고리즘 구현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드론 최적 비행경로 탐색을 위한 강화학습 알고리즘 구현 연구주제 영문:Implementation of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to find optimal flight path for drones
작성자 국문:김도현, 김동연, 성준석 / 제주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im Dohyun, Kim Dongyeon, Sung Junseok / Jeju Science High School
초록:

기존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2차원 평면상에서의 움직임을 전제로 설계되어 3차원 공간상에서 비행 하는 드론의 경로 탐색에 적절하지 못하고, 풍향, 풍속과 같은 환경적 변수를 충분히 경로 탐색에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강화학습 알고리즘인 Deep Q-Network(DQN)를 적용하여 드론의 자율적 최적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알고리 즘을 통해 무작위로 생성된 비행 금지 구역 및 장애물 배치, 풍속, 풍향 등의 다양한 비행 환경에서 비행 금지 구역 및 장애물을 회피하고 바람의 영향으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목표 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얻어낼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해당 알고리즘을 직접 현실 공간에서 드론에 적용하여 해당 알고리즘의 추가적인 유효성 검증이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보인다.

주제어: 드론, 자율 비행, 최적 비행경로, 강화학습, Deep Q-Network

  • 번호: 2406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폐감귤박, 폐해조류(괭생이모자반, 구멍갈파래) 원료 바이오차(Biochar)의 표면개질 방…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폐감귤박, 폐해조류(괭생이모자반, 구멍갈파래) 원료 바이오차(Biochar)의 표면개질 방법에 따른 공기정화율 비교 연구주제 영문:Comparison of air purification rates according to the surface modification method of biochar, a raw material of waste citrus peel and waste algae (Sargassum horneri, Ulva pertusa kjellman)
작성자 국문:김지현, 이주하, 현유진 / 제주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Jihyeon Kim, Juha Lee, Yujin Hyeon / Jeju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제주 지역에서 발생하는 폐감귤박과 폐해조류(괭생이모자반, 구멍갈파래)를 원료로 한 바이오차의 다양한 표면개질 방법에 따른 공기정화율을 비교하였다. 산, 알칼리, 산화제, 금속으 로 개질한 바이오차가 미세먼지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괭생이모자반을 HCl로 개질한 바이오차가 비표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높은 정화 성능을 보였다. 또한, 폐감귤박과 구멍갈파래 바이오차는 개질 방법에 따라 특정 오염 물질에 대한 흡착 효율이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제주 폐기물 자원의 업사이클링을 통한 고부가가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 며, 친환경 공기정화 소재로서 바이오차의 실용적 잠재력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폐감귤박, 폐해조류, 바이오차(Biochar), 표면개질, 공기정화

  • 번호: 2405
  • 연도: 2024
  • 분야: 공학
  • 연구주제: 선박 내 자이로스테빌라이저의 배치에 따른 선박의 안정성 분석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선박 내 자이로스테빌라이저의 배치에 따른 선박의 안정성 분석 연구주제 영문:Analysis of stability according to gyro stabilizer placement in ship
작성자 국문:김가현, 고미르, 김태원 / 제주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imGaHyeon, KoMiReu, KimTaeWon / Jeju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선박 내 자이로스테빌라이저의 배치가 선박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파장치와 IMU 센서를 활용하여 선박의 Roll 방향 기울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Roll RAO(Response Amplitude Operator)로 변환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은 3가지 다른 진동수 (3.07 Hz, 2.25 Hz, 1.21 Hz)의 파도를 사용하고, 자이로스테빌라이저의 배치를 6가지 방식으로 변경 하며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이로스테빌라이저의 위치와 개수가 선박의 Roll 안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파도의 진동수가 높은 조건에서 자이로스테빌라이저를 최적의 위치에 배치했을 때 Roll RAO 값이 감소하여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파도의 진동수에 따라 최적의 자이로스테빌라이저 배치가 각각 존재하며 해당 배치에서 RAO값이 유의미하게 감소함을 확인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중 자이로스테빌라이저의 배치가 선박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 하며, 해양지원선(OSV)과 같은 선박의 극한 환경에서의 안정성 유지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자이로스테빌라이저, 선박 안정성, Roll RAO(Response Amplitued Operator), 해양지원선(OSV)

  • 번호: 2404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PEM 전기 분해 모델에 대한 초음파의 영향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PEM 전기 분해 모델에 대한 초음파의 영향 연구 연구주제 영문:Effect analysis of ultrasonic waves in PEM electrolysis model
작성자 국문:김범석, 김형건, 박서율 / 제주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Beomseok Kim, Hyunggeon Kim, Seoyul Park / Jeju Science High School
초록:

현재 에너지 문제는 화석연료의 유한성과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로 인해 심각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소와 산소를 이용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이 주목받고 있다. 수소 포집 방법 중에서도 물의 전기 분해를 통한 방법이 주목받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PEM(양이온 교환 막, 고분자 전해질막) 전기 분해의 효율 향상을 주 목적으로 하며, 직접 모델을 제작한 뒤 초 음파의 출력에 따른 전기 분해 효율 변화를 연구하였다. 전류 0.4A를 인가했을 때 전압 약 6V가 측 정되었고, 평균적으로 10분에 약 40mL의 수소가 생산되었다. 또한 초음파의 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일정한 전류를 인가함에 따른 과전압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후 전압 값을 5.0V로 고정하 고 시간에 따른 전류 그래프의 적분값을 구하고 경향성을 확인하였으며, 300W 세기를 가졌을 때 모델의 효율이 급격히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주제어: 양이온 교환 막, PEM 수전해, 수소, 초음파

  • 번호: 2403
  • 연도: 2024
  • 분야: 정보
  • 연구주제: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한 제주도 들개 탐색 및 알림 시스템 개발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한 제주도 들개 탐색 및 알림 시스템 개발 연구주제 영문:Development of Application for Tracking Wild Dogs Using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and Drones
작성자 국문:박민준, 현채은, 고대욱 / 제주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Minjune Park, Chaeeun Hyun, Daewook Ko / Jeju Science High School
초록:

들개 문제는 전국적으로 농작물 피해, 가축 공격, 주민 위협 등 여러 피해를 일으키며 전국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특히 제주도에서 들개 문제가 두드러지고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제주도의 들개 포획 방법을 바탕으로 더욱 효율적인 들개 포획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COCO 데이터셋의 데이터 일부와 추가적으로 수집한 풀숲에 가려진 들개의 이미지들을 YOLOv11x 를 통해 학습시키고, 들개가 인식되었을 시 핸드폰으로 알림이 전송되게 하고, 출현 시간과 장소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이는 드론을 통해 유기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도와 포획과 즉각적인 대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객체 인식, Yolo 알고리즘, Fine-Tuning, 애플리케이션 개발

  • 번호: 2402
  • 연도: 2024
  • 분야: 공학
  • 연구주제: 진동을 이용한 철의 부식 위치 관한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진동을 이용한 철의 부식 위치 관한 탐구 연구주제 영문:A Study on the Corrosion Position of iron using vibration
작성자 국문:구정윤․김이정․양성빈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Jeong Yun Gu․Yi Jung․Kim․Seong Been Yang / Kye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공업 발전으로 인한 철재 구조물의 부식은 안전사고와 경제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진동을 이용한 철재 구조물의 부식 탐지 방법을 탐구하여 부식 관리 및 예 방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에서는 철판을 일정한 힘으로 가격한 후 발생한 음향을 분석하여 부 식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에 대한 진폭 값을 도출하고, 이를 다항회귀 모델에 적용하여 철판의 부식 위치를 예측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철재 구조물의 부식 위치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었으며, 부식으로 인한 피해 예방에 기여할 수 있었다.

주제어: 부식, 진동, 푸리에변환, 다항회귀 프로그램

  • 번호: 2401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고정밀 실험용액 분배 및 변화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산-염기 중화적정 실험의 최적화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고정밀 실험용액 분배 및 변화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산-염기 중화적정 실험의 최적화 연구주제 영문:Optimization of Acid-Base Titration Experiments Using High-Precision Solution Dispensing and Change Detection System
작성자 국문:김은율•신동빈•이범석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Eun Yul Kim • Beom Seok Lee • Dongbin Shin / G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화2 중화적정 실험 도중 발견한 뷰렛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화적정 실험은 미지의 용액의 농도를 확인하는 중요한 실험 중 하나이며, 이 연구를 통해 뷰렛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또한 기존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식이 아닌 표준 밀도를 이용하여 질량으로 부피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자동 뷰렛 장치를 진행하여 실험을 진행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더욱 정확한 중화적정 실험과 전과 새로운 방법 으로 화학실험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주제어: 뷰렛,산염기 중화 적정,MBL 센서, 로드셀 센서

  • 번호: 2400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친환경 탄소 양자점을 이용한 Cutie(QD) pH senser kit 제작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친환경 탄소 양자점을 이용한 Cutie(QD) pH senser kit 제작 연구주제 영문:Manufacture of Cutie(QD) pH senser kit using eco-friendly carbon quantum dots
작성자 국문:김준서, 유지안, 조용원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im Joon-seo, Yoo Ji-an, Jo Young-won / 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에서 pH에 따라 형광 강도가 변하는 탄소 양자점을 이용해 새로운 pH 측정 키트를 개발했다. pH에 따른 퀀텀닷의 형광 정도를 형광 분광 광계도와 RGB 센서를 통해 분석했으며 Urea를 통해 질소 토핑으로 퀀텀탓의 형광 정도를 개선했다. 실험 결과 456nm 파장대의 빛과 UV의 세기를 통해 pH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센서를 사용해 키트를 제작했다. 이 카트는 기존 유리 전극 기반 센서보다 정확하고, 용행과 직접 접촉 없이 pH 측정이 가능하다. 진환경적인 탄소 양자점을 사용했기에 친환경적이다. 또한, 제작비가 저렴하며 사용법이 간편하기에 학생들의 연구활동에 적합하며, 교육 현장에서 새로운 pH 측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탄소 양자점, pH별 달라지는 형광 효과, 질소 도핑, pH 키트, 조도와 RGB

  • 번호: 2399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공통 이온 효과 예측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공통 이온 효과 예측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탐구 연구주제 영문:Exploration of the Feasibility of Developoing a Program to Predict the Common Ion Effect
작성자 국문:고견무, 박혜인, 이도윤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Gho gyonmu, Park Hyein, Lee Doyun / 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이 연구는 화학 II 교과에서 소개된 공통 이온 효과의 원리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이를 정량적으 로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다. 공통 이온 효과는 공통 이온 을 가진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화학 평형이 이동하는 현상으로, 주로 산-염기 반응에서만 다루 어졌으나,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화학 물질들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UV-VIS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Pb(IO3)2의 Ksp 값을 측정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공통 이온 효 과를 분석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예상했던 정량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온 선택성 전극을 사용한 추가 실험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통 이온 효과를 예측하 고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공통이온효과, 흡광도, 정량분석, 평형이동, 앙금생성

  • 번호: 2398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소리굽쇠의 특성과 소리와의 상관관계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소리굽쇠의 특성과 소리와의 상관관계 탐구 연구주제 영문: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uning forks and sound
작성자 국문:김동우, 김우진, 김윤서, 손유찬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im Dongwoo, Son Yuchan, Kim woojin, Kim Yoonseo / 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소리굽쇠 모양인 U자형 이외에 다른 다양한 형태, 종류와 두께의 소리굽쇠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면 U자형 소리굽쇠와 비교하여 음색이 어떻게 변하는지 탐구하 는 연구이다. 또한, 판의 재질이나 모양에 따라서 왜 그러한 소리의 특성을 나타나게 되는것인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제어: 소리굽쇠, 파동, 공명, 진동

  • 번호: 2397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실버나노와이어 합성 및 실버나노와이어를 활용한 의료용 투명 스마트 밴드 제작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실버나노와이어 합성 및 실버나노와이어를 활용한 의료용 투명 스마트 밴드 제작 연구주제 영문:production of silver nanowires and smart bandages
작성자 국문:김구범, 한연우, 김성훈 지도교사 곽희진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투명전극에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ITO와 금속 나노 와이어, 그래핀 등이 있다. 하지만 플 렉시블 디스플레이에는 휘어지지 않는 그래핀, ITO는 사용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투 명유연전극인 실버나노와이어를 사용하여 실버나노 와이어 만의 강점인 높은 전기 전도성과, 투 명성을 활용하여 굳이 밴드를 탈착 하지 않더라도, 상처의 현재 상태와 치유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게 설계한 의료용 투명 스마트 밴드를 직접 제작하였다.
실버 나노 와이어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투명 전극에 적합한 합성 온도와 반응 시간을 도출하였 으며, 직접 합성한 투면 전극에 온, 습도 센서를 부착하여 염증으로 인한 상처 부위의 온도와 밴 드 내부 습도를 측정하여 염증의 진행정도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밴디지를 직 접 구현해내었다.

주제어: 실버나노 와이어, 투명유연전극,스마트 밴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