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헤더 및 전체메뉴 건너뛰기

연도별 연구과제 3 페이지첫페이지로 이동

자료실

성과공유

탭 버튼을 선택하면 분야별로 볼 수 있습니다.

연도별 연구과제

전체 글 수: 2,427 현재 페이지: 3
  • 번호
  • 연도
  • 분야
  • 연구주제
  • 초록보기
  • 원문
  • 번호: 2403
  • 연도: 2024
  • 분야: 정보
  • 연구주제: 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한 제주도 들개 탐색 및 알림 시스템 개발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이미지 인식 기술을 활용한 제주도 들개 탐색 및 알림 시스템 개발 연구주제 영문:Development of Application for Tracking Wild Dogs Using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and Drones
작성자 국문:박민준, 현채은, 고대욱 / 제주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Minjune Park, Chaeeun Hyun, Daewook Ko / Jeju Science High School
초록:

들개 문제는 전국적으로 농작물 피해, 가축 공격, 주민 위협 등 여러 피해를 일으키며 전국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심각한 문제이다. 특히 제주도에서 들개 문제가 두드러지고 있다. 그렇기에 우리는 제주도의 들개 포획 방법을 바탕으로 더욱 효율적인 들개 포획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COCO 데이터셋의 데이터 일부와 추가적으로 수집한 풀숲에 가려진 들개의 이미지들을 YOLOv11x 를 통해 학습시키고, 들개가 인식되었을 시 핸드폰으로 알림이 전송되게 하고, 출현 시간과 장소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이는 드론을 통해 유기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도와 포획과 즉각적인 대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객체 인식, Yolo 알고리즘, Fine-Tuning, 애플리케이션 개발

  • 번호: 2402
  • 연도: 2024
  • 분야: 공학
  • 연구주제: 진동을 이용한 철의 부식 위치 관한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진동을 이용한 철의 부식 위치 관한 탐구 연구주제 영문:A Study on the Corrosion Position of iron using vibration
작성자 국문:구정윤․김이정․양성빈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Jeong Yun Gu․Yi Jung․Kim․Seong Been Yang / Kye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공업 발전으로 인한 철재 구조물의 부식은 안전사고와 경제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진동을 이용한 철재 구조물의 부식 탐지 방법을 탐구하여 부식 관리 및 예 방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에서는 철판을 일정한 힘으로 가격한 후 발생한 음향을 분석하여 부 식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에 대한 진폭 값을 도출하고, 이를 다항회귀 모델에 적용하여 철판의 부식 위치를 예측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철재 구조물의 부식 위치를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었으며, 부식으로 인한 피해 예방에 기여할 수 있었다.

주제어: 부식, 진동, 푸리에변환, 다항회귀 프로그램

  • 번호: 2401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고정밀 실험용액 분배 및 변화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산-염기 중화적정 실험의 최적화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고정밀 실험용액 분배 및 변화 감지 시스템을 이용한 산-염기 중화적정 실험의 최적화 연구주제 영문:Optimization of Acid-Base Titration Experiments Using High-Precision Solution Dispensing and Change Detection System
작성자 국문:김은율•신동빈•이범석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Eun Yul Kim • Beom Seok Lee • Dongbin Shin / G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화2 중화적정 실험 도중 발견한 뷰렛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화적정 실험은 미지의 용액의 농도를 확인하는 중요한 실험 중 하나이며, 이 연구를 통해 뷰렛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또한 기존의 부피를 측정하는 방식이 아닌 표준 밀도를 이용하여 질량으로 부피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자동 뷰렛 장치를 진행하여 실험을 진행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더욱 정확한 중화적정 실험과 전과 새로운 방법 으로 화학실험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주제어: 뷰렛,산염기 중화 적정,MBL 센서, 로드셀 센서

  • 번호: 2400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친환경 탄소 양자점을 이용한 Cutie(QD) pH senser kit 제작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친환경 탄소 양자점을 이용한 Cutie(QD) pH senser kit 제작 연구주제 영문:Manufacture of Cutie(QD) pH senser kit using eco-friendly carbon quantum dots
작성자 국문:김준서, 유지안, 조용원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im Joon-seo, Yoo Ji-an, Jo Young-won / 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에서 pH에 따라 형광 강도가 변하는 탄소 양자점을 이용해 새로운 pH 측정 키트를 개발했다. pH에 따른 퀀텀닷의 형광 정도를 형광 분광 광계도와 RGB 센서를 통해 분석했으며 Urea를 통해 질소 토핑으로 퀀텀탓의 형광 정도를 개선했다. 실험 결과 456nm 파장대의 빛과 UV의 세기를 통해 pH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센서를 사용해 키트를 제작했다. 이 카트는 기존 유리 전극 기반 센서보다 정확하고, 용행과 직접 접촉 없이 pH 측정이 가능하다. 진환경적인 탄소 양자점을 사용했기에 친환경적이다. 또한, 제작비가 저렴하며 사용법이 간편하기에 학생들의 연구활동에 적합하며, 교육 현장에서 새로운 pH 측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탄소 양자점, pH별 달라지는 형광 효과, 질소 도핑, pH 키트, 조도와 RGB

  • 번호: 2399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공통 이온 효과 예측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공통 이온 효과 예측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탐구 연구주제 영문:Exploration of the Feasibility of Developoing a Program to Predict the Common Ion Effect
작성자 국문:고견무, 박혜인, 이도윤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Gho gyonmu, Park Hyein, Lee Doyun / 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이 연구는 화학 II 교과에서 소개된 공통 이온 효과의 원리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이를 정량적으 로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다. 공통 이온 효과는 공통 이온 을 가진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화학 평형이 이동하는 현상으로, 주로 산-염기 반응에서만 다루 어졌으나,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화학 물질들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UV-VIS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Pb(IO3)2의 Ksp 값을 측정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공통 이온 효 과를 분석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예상했던 정량 분석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온 선택성 전극을 사용한 추가 실험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통 이온 효과를 예측하 고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공통이온효과, 흡광도, 정량분석, 평형이동, 앙금생성

  • 번호: 2398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소리굽쇠의 특성과 소리와의 상관관계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소리굽쇠의 특성과 소리와의 상관관계 탐구 연구주제 영문: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uning forks and sound
작성자 국문:김동우, 김우진, 김윤서, 손유찬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im Dongwoo, Son Yuchan, Kim woojin, Kim Yoonseo / 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소리굽쇠 모양인 U자형 이외에 다른 다양한 형태, 종류와 두께의 소리굽쇠를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면 U자형 소리굽쇠와 비교하여 음색이 어떻게 변하는지 탐구하 는 연구이다. 또한, 판의 재질이나 모양에 따라서 왜 그러한 소리의 특성을 나타나게 되는것인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제어: 소리굽쇠, 파동, 공명, 진동

  • 번호: 2397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실버나노와이어 합성 및 실버나노와이어를 활용한 의료용 투명 스마트 밴드 제작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실버나노와이어 합성 및 실버나노와이어를 활용한 의료용 투명 스마트 밴드 제작 연구주제 영문:production of silver nanowires and smart bandages
작성자 국문:김구범, 한연우, 김성훈 지도교사 곽희진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투명전극에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ITO와 금속 나노 와이어, 그래핀 등이 있다. 하지만 플 렉시블 디스플레이에는 휘어지지 않는 그래핀, ITO는 사용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투 명유연전극인 실버나노와이어를 사용하여 실버나노 와이어 만의 강점인 높은 전기 전도성과, 투 명성을 활용하여 굳이 밴드를 탈착 하지 않더라도, 상처의 현재 상태와 치유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게 설계한 의료용 투명 스마트 밴드를 직접 제작하였다.
실버 나노 와이어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투명 전극에 적합한 합성 온도와 반응 시간을 도출하였 으며, 직접 합성한 투면 전극에 온, 습도 센서를 부착하여 염증으로 인한 상처 부위의 온도와 밴 드 내부 습도를 측정하여 염증의 진행정도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밴디지를 직 접 구현해내었다.

주제어: 실버나노 와이어, 투명유연전극,스마트 밴디지

  • 번호: 2396
  • 연도: 2024
  • 분야: 수학
  • 연구주제: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 확산에 대한 수학적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코로나와 같은 전염병 확산에 대한 수학적 탐구 연구주제 영문:Mathematical exploration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작성자 국문:전준서, 장준혁, 김민찬, 장준혁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junseojeon, jang jun heok, minchankim, jang jun hyeok / Ky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코로나와 같은 전염병 상황을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이 상황을 예측할수 있는 모델이 필요하 다고 생각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SIR모델의 기본 이론을 이용하였다. 또한 예측의 정확도를 더 올리기 위해서 사망률과 백신, 재감염률과 같은 변수들을 같이 고려하였다. 처음 SIR모델을 사용했을때에는 미분방정 식을 사용하였지만 상수를 추가하는 과정에서 미분방정식을 그대로 사용하는것에는 무리가 있을것으로 판단해 점화식 형태로 식을 고쳐 좀 더 복잡한 형태의 모델을 단순화하였다. 고친 식을 바탕으로 최종적인 결과 그래프를 얻어내었고 위상공간에서 그래프 또한 만들어서 감염자와 감염이 될 수 있는 사람 사이 즉 변수들과의 관계에 대해 더 자세히 탐구해볼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탐구에 집중하여 현실과는 약간 다른 결과를 얻어내었다. 이 부분은 수정이 필요할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감염병 상황에서 추세를 조사할 수 있었다.

주제어: 위상 공간, 수학 모델, 다변수 미분방정식, 수치해석, 그래프, 다변수 점화식

  • 번호: 2395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UV와 정향을 활용한 개방동굴의 녹색오염 문제의 친환경적인 해결을 위한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UV와 정향을 활용한 개방동굴의 녹색오염 문제의 친환경적인 해결을 위한 탐구 연구주제 영문:A Research on the Eco-Friendly Solution of Green Pollution Problem in Open Cave Using UV and Cloves
작성자 국문:배준혁․윤창빈․이정환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Jun-Hyeok Bae․Chang-bin Yoon․Jeong-Hwan Lee / G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개방동굴에서 발생하는 녹색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개방동굴의 녹색오염 발생 물질로 알려져 있는 클로렐라의 생장을 억제시킴으로써 개방동 굴을 보호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DNA 구성 요소인 티민의 분자 구조를 파괴할 수 있는 자외선(UV) 조사를 활용하여 클로렐라의 생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유제놀 물질을 함유한 정향을 이용하여 클로렐라의 생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실험하였다. 이 두 가지 방법을 통한 클로렐라의 생장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순수한 동굴 환경에 방치된 클로 렐라와의 생장 정도를 실체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제놀을 tween20 용액과 span20을 혼합한 혼합 용액을 농도를 바꾸어가며 제작하였다. 이 용액이 동굴 벽면에 미치는 영향 을 조사하기 위해 석회암, 현무암의 질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 클로렐라를 현미경으로 관찰 하여 유제놀이 동굴 속 녹색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녹색오염, 클로렐라, UV, 정향, 유제놀

  • 번호: 2394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지구에서 화성을 키우다: 식물이 자생 가능한 화성의 환경 구현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지구에서 화성을 키우다: 식물이 자생 가능한 화성의 환경 구현 연구주제 영문:Creation of a Martian Enviornment and developing life adapted to Mars
작성자 국문:김지섭, 박준우, 우현준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Kim Ji Seop, Woo Hyun Jun, Park Jun Woo / 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This study aims to recreate the environment of Mars on Earth and explore the potential for plant growth under various condition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Mars exploration and terraforming research. To achieve this, the soil and atmospheric conditions of Mars were analyzed, and various experiments were designed based on this analysis. Firs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Martian regolith and Earth soil was conducted using X-ray fluorescence (XRF), revealing that elements such as K, Ti, and Ar are significantly lacking in Martian soil compared to Earth soil. Additionally, the atmospheric composition of Mars was analyzed through spectral observations to study the effects of low atmospheric pressure and a CO₂-dominated environment on plant growth. To experiment with the germination and growth potential of plants in such an environment, several variables were established. The germination rate in Martian regolith was found to take longer than in Earth soil. Subsequently, experiments using various fertilizer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silicate fertilizer resulted in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and growth speed. Furthermore, when comparing germination rates in environments with controlled Martian atmospheric pressure and composition, it was confirmed that germination is possible even at low pressure if sufficient moisture and oxygen are provided. Based on these findings, additional environments capable of supplying oxygen and moisture were created,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CO₂ sensors, which observed changes in CO₂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photosynthesis and cellular respir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under appropriate conditions, plant growth is possible even in Martian environments, indicating the potential for establishing a self-sustaining Martian ecosystem. This research provides experimental evidence for the possibility of plant growth on Mars and is expected to serve as important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Mars exploration and terraforming technologies.

주제어: 테라포밍, 화성모조토, XRF, 식물

  • 번호: 2393
  • 연도: 2024
  • 분야: 공학
  • 연구주제: 모션 캡처 분석을 활용한 감아차기 로봇 제작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모션 캡처 분석을 활용한 감아차기 로봇 제작 연구주제 영문:Creating a wind-up robot using motion capture analytics
작성자 국문:박주영, 서아림, 손민준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JooYeong Park, Seo Arim, MinJun Son / 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연구는 모션 캡처 분석을 통한 인간의 감아차기 모션을 분석해 이를 로봇 다리를 통해 구현함 을 목표로 한다. 모션 캡처 분석을 통해 얻은 좌표를 보정하기 위해 면형회귀라는 새로운 회귀 방 식을 제안한다. 선형회귀를 통해 여성의 키-인심 길이, 성장기 여성의 키-허벅지 둘레 그래프를 통 해 로봇 제작을 사람과 최대한 유사하게 제작한다. 이후 1차, 2차, 3차 로봇 제작을 통해 각 디자인 에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한다. 최종적으로 감아차기 다리 로봇 제작을 목표로 한다.

주제어: 로보컵, 모션 캡처, 로봇, 선형회귀, 평면형회귀

  • 번호: 2392
  • 연도: 2024
  • 분야: 공학
  • 연구주제: 주변 경사에 따른 멀리뛰기 동작 중 관절 움직임 변화 분석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주변 경사에 따른 멀리뛰기 동작 중 관절 움직임 변화 분석 연구주제 영문:Analysis of joint movement changes during long jump movement according to surrounding slope
작성자 국문:김규원․류연우 / 경북과학고등학교 작성자 영문:Gyuwon Kim․Yeonwoo Ryu / Kyeongbuk Science High School
초록:

본 보고서는 최근 첨단기술 및 기계로서 대두되고 있는 휴머노이드가 실용화되었을 때 여러 현 장에서 요구되는 멀리뛰기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습 니다. 본 연구는 주변 경사에 따른 인간의 멀리뛰기 동작을 모션 캡처 장비를 통해 발목, 무릎, 고관절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경사각이 변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또한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알아내고자 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주변 경사가 커진다고 하여도 가장 안정적인 자세는 지면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가 유사하다고 해석하였습니 다. 이는 휴머노이드의 실제 멀리뛰기 동작 구현에 있어서 인간처럼 안정적인 자세로 효과적인 도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제어: 멀리뛰기, 모션 캡처, 머신러닝, 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휴머노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