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헤더 및 전체메뉴 건너뛰기

연도별 연구과제 36 페이지첫페이지로 이동

자료실

성과공유

탭 버튼을 선택하면 분야별로 볼 수 있습니다.

연도별 연구과제

전체 글 수: 2,427 현재 페이지: 36
  • 번호
  • 연도
  • 분야
  • 연구주제
  • 초록보기
  • 원문
  • 번호: 2007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2-(3-Chloro-2-methylanilino)benzoic acid(Tolfenami…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2-(3-Chloro-2-methylanilino)benzoic acid(Tolfenamic acid)를 활용한 가돌리늄 금속 착화합물의 합성과 특성 및 구조 분석 연구주제 영문:Synthesis, Properties, Structure Analysis of Gadolinium Complex of 2-(3-Chloro-2-methylanilino)benzoic acid(Tolfenamic acid)
작성자 국문:김지훈․김영탁․박채은․옥아랑․추혜민 작성자 영문:Kim Ji-hun․Kim Young-tak․Park Chae-eun․OK A-rang․Choo Hye-min
초록:

본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는 gadolinium과 Tolfenamic acid 간의 착화합물 형성을 통해 의약제제와 MRI 조영제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두 약물의 동시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란타넘족 금속은 독특한 자성 특성을 지니는데, 특히 가돌리늄은 높은 자성을 바탕으로 선형 및 고리형 킬레이트 리간드에 의해 가공되어 MRI 조영제로 널리 사용된다. 반면,
Tolfenamic acid는 NSAID로서 사용되는 물질로, polydentate ligand로 기능하여 2가 및 3가 금속 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물질 간 착화합물의 합성을 통해 두 약물의 동시 사용 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주제어: MRI 조영제, Tolfenamic acid, 착화합물, 의약품 안전성, 가돌리늄

  • 번호: 2006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1-(2,4-Xylylazo)-2-naphthol를 활용한 Azo 코발트 착화합물의 광학…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1-(2,4-Xylylazo)-2-naphthol를 활용한 Azo 코발트 착화합물의 광학적 특성 분석 연구주제 영문:Analysis of optical properties of Azo cobalt complex using 1-(2,4-Xylylazo)-2-naphthol
작성자 국문:이지유.김서윤.김승수․박세은․이유준. 작성자 영문:Jiyu Lee, Seoyun Kim, Seungsu Kim, Seeun Park, Yujun Lee
초록:

본 연구는 1-(2,4-Xylylazo)-2-naphthol 리간드의 cis-trans 구조 변화를 이용하여 자외선(UV) 지시용액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Co 착화합물은 UV 조사에 의한 색 변화를 기대했으나, 실험 결과 색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변인통제 실험을 통해 리간드와 결합하지 않은 Cu와 MeCN 조합에서 가역적인 색 변화가 확인하였고, 추가 실험을 통해 Fe+MeCN 및 Fe+MeOH 용액에서도
UV 조사에 따른 가역적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특히, Fe와 MeOH의 조합은 UV 세기 변화에 따라빠르고 뚜렷한 색 변화를 보였으며, 실생활 조건에서 약 10시간 내에 가시적인 색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적의 자외선 지시 용액을 제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UV 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역디퓨징‘현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주제어: UV, 가역적 색 변화, 자외선 지시 용액, 증기압 확산, 역디퓨징

  • 번호: 2005
  • 연도: 2024
  • 분야: 지구과학
  • 연구주제: 기상 영상 분석을 통한 3D 구름 형상화 프로그램 제작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기상 영상 분석을 통한 3D 구름 형상화 프로그램 제작 연구주제 영문:Development of a 3D Cloud Shape Visualization Program through Weather Data Analysis
작성자 국문:권우준, 김진우, 이재윤 작성자 영문:Woojun Kwon ․ Zinu Kim ․ Jaeyun Lee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기상 현상 3차원 시각화이다. 인공지능 모델을 제작하여 국가 기상 위성센터의 천리안 위성 2A호의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구름의 운정 고도와 두께를 3차원으로 확장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실시간 모델링을 통해 시각화하였다.

주제어: 기상 영상, 구름, 인공지능, 3D 모델링

  • 번호: 2004
  • 연도: 2024
  • 분야: 지구과학
  • 연구주제: 광물 모드 분석 자동화 시스템 개발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광물 모드 분석 자동화 시스템 개발 연구주제 영문:Development of Mineral Modal Analysis Automation System
작성자 국문:곽경록, 김지범, 조강민 작성자 영문:Gyoungrok Gwak, Jibeom Kim, Kangnim Cho
초록:

암석을 구분하는 작업은 연구의 실용화, 토목 공사의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 지하 자원의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광물 중에는 육안 및 겉보기 특성만으로 구분이 어려운 것이 다수이기에, 자세한 관찰을 위해 편광현미경을 주로 이용한다. 편광현미경을 통한 암석 분류 방법은 중·고등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으나, 높은 정확도의 분류를 실현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과 피지컬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암석 분류 시스템을 자동화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화성암을 구성하는 광물 박편 이미지를 수집하였으며, CNN과 Semantic segmentation을 사용하여 주어진 화성암 박편 이미지를 분류하려 하였다. CNN을 사용하였을 때는 약 97%, Semantic segmentation을 사용하였을 때는 50%의 정확도로 분류하였다. 이후 Arduino를 이용해 편광 현미경 자동화 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주제어: 암석 판별, 인공지능, 피지컬 컴퓨팅, CNN, Semantic segmentation

  • 번호: 2003
  • 연도: 2024
  • 분야: 지구과학
  • 연구주제: 광민감성 단백질을 이용한 세균의 특이적 파괴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광민감성 단백질을 이용한 세균의 특이적 파괴 연구주제 영문:Specific destruction of cells using photosensitive proteins
작성자 국문:우연서․김하랑․조휘슬 작성자 영문:Woo Yeon-seo․Kim Ha-rang․Cho Hwi-seul
초록:

신경과학 및 다양한 생물학적 분야에서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광민감성 단백질을 활용한 연구가 많은데, 광민감성 단백질이 발현된 세포가 연구 실험실을 넘어 외부 환경으로 유출될 경우 예기치 않은 생물학적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민감성 단백질인 채널로돕신이 발현된 세포를 특이적으로 제거 및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장균 형질전환을 진행하여 원하는 플라스미드를 추출한 뒤 형질 주입을 통해 세포에 채널로돕신을 발현시켰다. 그 후 채널로돕신에 460nm 청색광을 처리하면 이온 채널이 열려 양이온이 유입되는 성질 활용하여 양이온이 포함된 배지에 세포를 배양한 후 청색광을 비추고 저장액에 처리해 삼투압을 통해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에 성공하였다.

주제어: 채널로돕신, 광민감성, 대장균, 이온 채널, 삼투압

  • 번호: 2002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한천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제작에 관한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한천을 이용한 생분해성 발포 플라스틱 제작에 관한 연구 연구주제 영문:Study on the production of biodegradable foam plastic using agar
작성자 국문:정민혁․이민형 작성자 영문:Jung Minhyuk ․Lee Minhyeong
초록:

스티로폼은 폴리스타이렌(PS, Poly Styrene)을 발포시켜 만든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단열과 완충에 매우 효과적이기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분해되는데 500년이 걸린다는 점과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주범이라는 점에서 환경과 인간 건강에 치명적이다. 이에 생분해성이 뛰어난 한천을 이용하여 스티로폼을 대체할 수 있는 발포 플라스틱을 제작해보고자 한다.

주제어: 한천(Agar), 스티로폼, 동결건조, 단열성, 완충 효과

  • 번호: 2001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오케스트라 공연 홀 내부에서의 최적의 청취를 위한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오케스트라 공연 홀 내부에서의 최적의 청취를 위한 연구 연구주제 영문:A Study on the Placement of Seats for Best Listening Inside the Orchestra Performance Hall
작성자 국문:이재우․최재훈․홍주희․황서영 작성자 영문:Lee JaeWoo․Choi JaeHoon․Hong JuHee․Hwang SeoYoung
초록:

오케스트라에서 각 위치마다 소리가 다르게 들린다는 선행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접한 뒤 음악 감상에 있어서 가장 이상적인 좌석은 어디인가에 대한 호기심으로부터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고정된 장소를 설정하여 일정한 소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고 소리를 측정하는 공간의 구역을 세분화하여 음향을 측정하고 녹음하였다. 그 후 RE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음압레벨, 임펄스 리스펀스, 잔향 시간 등의 파라미터를 추출한 뒤,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적의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는 좌석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강당 중앙의 위치는 직접음과 초기 반사음의 조화를 이루어 음향적 풍부함과 명료도를 유지하며, 소리의 감쇠가 최소가 되면서도 적정 잔향 시간이 확보되어 가장 적절한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실제 오케스트라에서도 무대의 앞 좌석 중에서도 중앙 위치가 가장 선호도가 높다는 사실은 이를 반영한다. 소리의 전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온·습도, 청중의 수, 공연장 반사판의 종류 등에 대한 변인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주제어: 오케스트라, 소리의 조화성, 공간 음향, 실내 음향, 음악 감상

  • 번호: 2000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양자물리학을 통한 음악적 사고의 확장 및 시각화 구현 (자연의 소리에 대한 음향적 분석을 …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양자물리학을 통한 음악적 사고의 확장 및 시각화 구현 (자연의 소리에 대한 음향적 분석을 통한 소리의 분류와 분류 모델 제작) 연구주제 영문:Expanding and visualizing musical thinking through quantum physics (Classification of Sounds through Acoustic Analysis of Natural Sounds and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Model)
작성자 국문:김시언, 김태민, 안태섭, 이준서 작성자 영문:Kim Sieon․Kim Taemin․An Taeseop․Lee Junseo
초록:

본 연구는 자연 소리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소리 분류 모델을 개발하고, 자연 소리의 과학적 분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파형, 웨이블릿 변환, MFCC, 프랙탈 차원 등의 다양한 분석 방법을 통해 각 소리의 특성을 파라미터로 추출하고, 각 소리 유형이 특정 파라미터 값 범위에 집중되는 경향을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리 유형에 따라 주요 파라미터에서 뚜렷한 분포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머신러닝 모델을 학습시킨 결과 약 82%의 분류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 소리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여 청각 자극 연구 및 소리 변환 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주제어: 자연 소리, 파라미터 수치화, 소리 분류 기준, 소리 예측 모델

  • 번호: 1999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친환경 다공체를 이용한 버섯 유류 흡착제의 효율성 비교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친환경 다공체를 이용한 버섯 유류 흡착제의 효율성 비교 연구주제 영문:Comparison of efficiency of oil adsorbents made from mushroom using eco-friendly porous materials
작성자 국문:도가연․정한성․황지혜 작성자 영문:Do Gayeon․Jung Hanseong․Hwang Jihye
초록:

주제어: 유흡착제, 유수선택도, 양친매성, 하이드로포빈, 유류 유출사고

  • 번호: 1998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유해곤충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기주식물인 포도나무(Vitis.)와 …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유해곤충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기주식물인 포도나무(Vitis.)와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를 활용한 꽃매미 유인물질 추출 연구주제 영문:Extraction of attractors using grape(Vitis.) and Tree of Heaven(Alanthus altissima), host plants of harmful Spotted lanternflies(Lycorma delicatula)
작성자 국문:최호영․김재한․김윤현 작성자 영문:Choi Ho-yeong․Kim Jae-han․Kim Youn-hyun
초록:

꽃매미(Lycorma delicatula)는 포도나무와 같은 작물에 주로 서식하며, 농업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외래종 해충이다. 본 연구는 꽃매미의 효과적인 방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가죽나무와 포도나무의 추출물을 활용할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에서 가죽나무와 포도나무 시료를 직접 채집하여, 환류 추출기를 이용해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의 유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에 적합한 구조물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꽃매미의 유인 반응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꽃매미 유인 물질 규명과 효과적인 유인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연구를 통해 추출물의 성분 분석과 최적화된 방제 방법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꽃매미, 가죽나무, 포도나무, 친환경 방제, 외래 유입종

  • 번호: 1997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시각장애인을 위한 영양소 검출 실험의 색 별화 감지 방법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시각장애인을 위한 영양소 검출 실험의 색 별화 감지 방법 탐구 연구주제 영문:Exploring color change detection methods in nutrient detection experiments for the visually impaired
작성자 국문:강영훈, 김효원, 김민서, 최자연 작성자 영문:Younghoon Kang, Hyowon Kim, Minseo Kim, Jayeon Choi
초록:

영양소 검출 실험은 중학교 2학년 때 수행하는 가장 기초적인 실험 중 하나이다. 하지만 영양소 검출 실험은 색 변화의 분석이 핵심인 실험이기에 시각장애인은 실험 결과 확인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색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시각이 아닌 다른 감각을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결과를 전달하는 보조 도구를 제작하였다. 영양소 시약을 농도별로 제작하여 이를 학습시킨 다음,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 키트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도구들을 사용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을 때 사용자들은 시각이 차단된 상황에서도 스스로 결과를 수 있었다. 이는 시각장애인이 해당 도구들을 사용하여 실험 수행 시 주도적으로 결과 이해 및 해석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들이 과학에 탐구 역량을 기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주제어: 시각장애인 교육, 영양소 검출 실험, Teachable Machine, 아두이노

  • 번호: 1996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백색부후균을 이용한 방화복 PAHs 제거 키트 제작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백색부후균을 이용한 방화복 PAHs 제거 키트 제작 연구주제 영문:Production of fire retardant PAHs remover using white rot bacteria
작성자 국문:심보라․신은우․김병준․김다영․박미서․하연후 작성자 영문:Shim bora․Shin Eun-woo․Kim byeongjun․Kim da-young․Park mi-suh․Ha yeon-hu
초록:

방화복에 흡착된 PAHs로 인해 소방관의 발암률과 암 발생 위험률이 증가하고 있다. PAHs는 방화복에 흡착되어 소방관들의 피부와 호흡기로 인체로 유입되며, 방화복으로 인해 주변에 PAHs가 유출되어 2차 피해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색부후균의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리그닌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방화복의 PAHs를 제거할 수 있는 세척 키트를 제작하였다. 리그닌 분해 효소인 LiP와 MnP를 기초 배지와 미량 원소 배지가 포함된 배지에서 각각 생산하여 키트 제작에 사용하였다. 제작한 키트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PAHs가 흡착된 방화복을 사용하였으며, 방화복에 흡착된 PAHs를 추출하여 키트 사용 전후의 PAHs의 양을 비교하였다. 실험을 통해 LiP와 MnP중 PAHs 제거능이 뛰어난 효소를 선택하여 최종 PAHs 제거 키트를 제작하였다.

주제어: 방화복, PAHs, 백색부후균, 리그닌 분해 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