탭 버튼을 선택하면 분야별로 볼 수 있습니다.
틱택토는 우리가 흔히 아는 단순한 보드게임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러한 단순함으로 인해 틱택토는 이미 X와 O가 서로 최선의 수를 둔다고 하면 항상 비기는 것이 확인된 게임이다. 즉, 틱택토는 게임으로써의 존재 의미가 사라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판의 크기와 차원을 확장한 여러 틱택토에 대해서 필승법이나 지지 않을 방법이 존재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이런 연구 활동을 위해 우리는 우선, 필승법의 전개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논리들을 만들어 내고 증명할 것이다. 그 논리들을 바탕으로 필승법의 전개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만약 필승법이 발견된다면, 어떠한 규칙이나 제한을 두어야 승패를 예측할 수 없게 되는지 연구해 봄으로써 틱택토를 공정하고 승부를 가릴 수있는 의미 있는 게임으로 만들고자 한다. 주제어: 틱택토, m,n,k-게임, 필승법, 차원, 공정성
현재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점점 늘어나고 있고, 빌딩풍에 취약한 고층빌딩들도 피해를 입는 경우 들이 종종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피해를 해결하기 위해 빌딩풍을 최소화 하는 건물 배치 방법을 찾고, 또한 빌딩풍을 이용해서 크로스 플로우 풍력발전기로 전기를 생산해내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빌딩의 배치를 바꿔가면서 빌딩풍을 조사하고, 풍력발전기 배치에 따른 전력을 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주제어: 빌딩풍, 친환경 발전, 크로스플로우형 풍력 발전기, 건물의 배치, 발전기 배치
화재 상황에서는 화재의 온도와 사람의 온도 차이가 명확히 존재한다. 화재 상황에서 온도 차이를 전압으로 만들어 주는 제백 효과를 이용해 전압을 생성한다. 생성된 전압을 통해 스피커를 키는 등위치를 알릴 수 있는 행위를 통해 구조를 돕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과 은을 제백 효과의 금속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알루미늄 도선 두 개 사이에 은을 연결하여 실험을 위한 회로를 제작했다. 하나의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압, 전류, 저항을 측정했다. 회로를 직렬로 연결 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축전기를 이용해 충전과 방전을 통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스피커를 켜기 위한 정도의 전압을 얻지는 못했지만 mV단위의 유의미한 전압값을 얻었고 미소 전압을 감지해 위치를 알리는 장치를 통해서 구조 장치 개발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주제어: 제백 효과, 화재 상황, 구조 장치
최근 학생들의 교육 환경이 주목받으며 교실 구조에 대한 음향적 고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시에 기존 교실의 개선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대구과학고등학교의 교실의 실내음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해보았다. 비교 가능한 교실 6개를 선정하여 각 교실의 SPL(음압레벨), EDT(초기감쇠시간), RT(잔향시간), C50(음성명료도), D50(음성명료도), TS(중심시간)를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목재 바닥과 종이 벽지, 선생님이 교실의 긴 면에 서는 구조가 다른 구조에 비해 음향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구조를 다른 교실에도 적용하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실내음향, 음향지표, 잔향시간, 명료도, 음향측정
본 연구는 액체 수송 시 유량을 감소시키고 기체를 주입시켜 설비에 악영향을 끼치는 와류를 억제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원통형 용기에서 액체가 빠져나오는 배수구의 조건을 달리하며 액체 수송량 및 와류를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하고, 그 원인을 정성적으로 해석한다. 주제어: Vortex flow, Drain, CFD
백수오는 갱년기 여성 건강에 매우 좋다고 알려져있는 식물로써 그 천연적 활용 가치가 매우 크다. 하지만 항산화 활성 및 항암 활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크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수오 에탄올 추출액을 제작하고 이 추출액의 항암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항암 활성은 mts assay를 통해서 알아보고 항산화 활성은 dpph assay를 통해서 알아본다. 항암 연구를 위해서 HepG2 간암 세포를 이용하여 꾸준히 계대한 뒤 사용한다. 이로써 천연 항암제를 찾아 화학적 항암제의 부작용을 줄이는 효과적인 항암제를 개발할 수 있다 주제어: HepG2, DPPH assay, MTS assay
2019년 말 처음으로 SARS-Cov-2로 인한 COVID19가 발병했고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바이러스는 우리의 몸에 침투해 증식하며 병을 유발하고, 사회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SARS-Cov-2의 Spike단백질에 대한 중화 항체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Phage display기술을 이용하여 항체 후보군 중 치료제로서 가능성이 높은 항체를 선별하였다. 선별 된 항체는 ELISA를 통해 결합능을 확인하였고, 농도에 따른 결합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SARS-Cov-2 pseudovirus를 제작하여 감염 정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결합능을 확인한 항체가 실제로 SARS-Cov-2 pseudovirus의 감염을 막을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결과 SARS-Cov-2에 대한 항체 후보군 중 중화항체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항체를 확인하였다. 이후 항체의 동물 실험 및 인체 안정성 효능을 추가적으로 확인한다면 이 항체가 COVID19의 재감염 예방하거나 치료제로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현재 의학 기술로 뇌종양, 폐렴과 같은 질병을 진단하고 검사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이는 방식은 자기공명영상, 컴퓨터단층촬영 등이 있다. 평생 뇌종양이 발생할 확률은 1% 미만으로 보고되지만, 2020년에 전 세계적으로 약 308,102명이 원발성 뇌 또는 척수 종양 진단받았으며, 이 중 85%에서 90%가 뇌종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가운데 뇌종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MRI를 촬영한 후정확한 진단을 거친 후 승인받고, 환자에게 통보되기까지는 평균적으로 2~3주의 시간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곱 신경망과 이를 이용한 이미지 분할 체계인 FCN을 기반으로 이러한 시간을 단축하고,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진행되었다. 주제어: 자기공명영상, 딥러닝, CNN, FCN, 뇌종양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보행 장애를 분석하여 소뇌이상, 뇌졸중, 파킨슨병 등을 초기 진단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보행 장애 질병 관련 수집된 보행 동영상에서 CNN 기반 도구인 openpose를 통해 skeleton을 추출하고, Tensorflow를 통해서 LSTM-RNN 모델을 구현하여 보행 장애를 예측하고 진단한다. 사용자의 보행 영상을 분석하여, 소뇌이상, 뇌졸중 및 파킨슨병의 발병 가능성을 사용자에게 제안하여 조기 진단을 해줄 수 있다. 스스로 자각하기 힘든 치명적인 병의 증상을 사용자에게 조기에 경고하여 빠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여 병을 늦게 발견하여 치료에 실패한 환자 케이스를 줄이는데 이바지한다. 주제어: CNN, Skeleton, LSTM-RNN, 보행 장애
본 연구는 식물 외부의 자극에 대한 전기신호 반응을 인식하여 스마트 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하려 한다. 아두이노를 활용한 스마트 팜 장치와 Plant Spiker Box 장비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식물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팜 장치를 제작한다. 스마트 팜 앱에서는 각 센서 모듈에 획득되는 정보는 온라인 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웹 앱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 인사이트를 제안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생체전류 신호 인식이 가능한 다른 식물 종에 적용하면, 사용자가 식물 작물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농업, 스마트 팜, 아두이노, 생체전류
본 연구는 다가올 월드컵의 공인구의 성능에 대한 측정의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하며 이를 통하여 경기에 적용하고자 하는 최선의 축구공을 제작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최근 월드컵에서 오히려 시간이 지나는 것에 비하여 오히려 축구공의 성능에 대한 선수들의 의구 심만 오히려 증가하였다. 특히 2010년 자블라니에서 그 전 사용하였던 모든 공인구들을 넘어서는 혹평을 받아 세간의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상황이 지속되지 않기 위하여 마그누스 원리를 이용하여 직진성과 균형이 잡힌 성능 좋은 축구공을 선정하고자 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축구공을 제작하는 연구를 진행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로봇의 자기장 제어에 있어 새로운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에는 많은 수의 코일을 이용해 2차원적인 제어를 했다. 그러나 해당 연구는 더 적은 수의 코일을 이용하고 코일들을 이동시키는 방식을 도입하여 마이크로 로봇을 정밀 제어하고자 한다. 해당 방식은 기존에 비해 낮은 비용으로 기존과 유사한 제어 능력을 가져 경제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고 과제의 복잡성을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실험 기구를 단순화시키고 자동 제어 시스템 도입을 통해 그 정밀도를 향상해 나가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의 상용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마이크로 로봇, 자기장 제어, 헬름홀츠 코일, 맥스웰 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