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헤더 및 전체메뉴 건너뛰기

연도별 연구과제 35 페이지첫페이지로 이동

자료실

성과공유

탭 버튼을 선택하면 분야별로 볼 수 있습니다.

연도별 연구과제

전체 글 수: 2,427 현재 페이지: 35
  • 번호
  • 연도
  • 분야
  • 연구주제
  • 초록보기
  • 원문
  • 번호: 2019
  • 연도: 2024
  • 분야: 정보
  • 연구주제: 인공신경망 기반 렌더링 이미지 품질 개선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인공신경망 기반 렌더링 이미지 품질 개선 연구주제 영문:Enhancing Rendering Image Quality th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s
작성자 국문:남지윤․조효근․성현아 작성자 영문:Nam Jiyun․Cho Hyogeun․Sung Hyuna
초록:

인공신경망(ANN)과 합성곱 신경망(CNN)을 활용하여 Ray Tracing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고품질의 렌더링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ANN은 학습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지며, CNN은 이미지 처리에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연구 과정에서 ReLU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여 기울기 소실 문제를 해결하고, 몬테카를로 렌더링 기법을 적용하여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이를 통해 제한된 샘플 수로도 물리적 정확성과 계산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인공신경망, 렌더링, denoiser, CNN 알고리즘, Ray tracing

  • 번호: 2018
  • 연도: 2024
  • 분야: 정보
  • 연구주제: 딥러닝 기반 위변조 번호판 식별에 관한 연구(국문)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딥러닝 기반 위변조 번호판 식별에 관한 연구(국문) 연구주제 영문:Research on illegal license plate detection with deep learning
작성자 국문:이성규․김지안 작성자 영문:Seungkyu Lee․Jian Kim
초록:

불법 번호판의 사용은 개인 신원의 추적을 어렵게 하여 다양한 범죄를 조장한다. 이는 법 집행 기관의 업무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딥러닝 기반의 모델을 통해 불법 번호판을 구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비전과 머신 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번호판의 형태와 글자 조작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시스템은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번호판의 특징을 추출 후 이를 딥러닝 모델에 입력하여 불법 번호판 여부를 판단할 것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 수집, 모델 학습, 실험 과정을 통해 불법 번호판 감지 시스템의 효과를 검증할 것이다. 먼저, 다양한 유형의 번호판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킨다. 이후, 학습된 모델을 실제 환경에서 테스트하여 불법 번호판 감지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평가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변수와 상황을 고려하여 모델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실시간 감지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인다. 이 연구는 도로 교통 안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번호: 2017
  • 연도: 2024
  • 분야: 정보
  • 연구주제: 내담자의 감정 인식 기반 상담 효율성 검증 모델 학습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내담자의 감정 인식 기반 상담 효율성 검증 모델 학습 연구주제 영문:Model Training for Verifying Counseling Effectiveness Based on Client Emotion Recognition
작성자 국문:권서하․이주형․정예헌 작성자 영문:Seoha Kwon․Juhyeong Lee․Yehon Jeong
초록: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의 감정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감정 인식 모델의 개발은 상담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방안이 될 수 있다. 기존 상담은 상담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여 감정 인식의 일관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고, 이는 상담 효과의 변동성을 초래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IHub의 감정 태깅 대화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음성 기반 감정 분류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데이터 전처리와 신경망 학습을 통해 네 가지 주요 감정(없음, 기쁨, 슬픔, 화남)을 분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제안된 모델은 다양한 상담 상황에서 내담자의 감정을 일관되게 분류하여 객관적인 감정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감정을 즉각적으로 파악하고 맞춤형 상담을 제공함으로써 상담의 신뢰성과 효율성
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감정 인식, 상담 효율성, 음성 데이터, 모델 학습, 인공지능

  • 번호: 2016
  • 연도: 2024
  • 분야: 정보
  • 연구주제: SNS 통신 취약점 및 개인정보 유출 분석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SNS 통신 취약점 및 개인정보 유출 분석 연구주제 영문:Analysis of SNS communication vulnerabilities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작성자 국문:정윤․최송이․이종현 작성자 영문:Jung Yoon․Songyi Choi․Jonghyun Lee
초록: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및 실시간 화상 서비스의 사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개인정보 보안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실시간 화상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해킹 사례는 개인정보 도용, 대화 내용 녹취 등의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기에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실시간 영상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스니핑 기법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통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 분석을 진행하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이용자를 보유한 화상 회의 서비스인 Zoom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Rogue AP와 SSL Strip 기법을 이용해 실시간 화상 회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기의 네트워크 패킷을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발견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분석한다. 또한 이와 같은 분석 과정을 Zoom 이외의 기타 실시간 화상 서비스에도 적용하여 발견될 수 있는 추가적인 취약점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해당 취약점의 발생 원인 및 보안 강화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SSL Strip 기법을 통해 기존에 암호화되어 전송되던 데이터 내용을 복호화할 수 있는 고유 키를 얻고, 이를 이용해 UDP 패킷의 내용을 복구함으로써 화상 회의의 영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면
해당 서비스의 구조적 문제와 데이터 및 개인정보의 유출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실시간 화상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을 지적하고 대안 방안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번호: 2015
  • 연도: 2024
  • 분야: 수학
  • 연구주제: 그래프 이론을 통한 광주광역시 도로 최적화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그래프 이론을 통한 광주광역시 도로 최적화 연구주제 영문:Optimizatio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Road through graph theory
작성자 국문:김율건․오시언․이승준․김경미 작성자 영문:Yulgeon Kim․Sieon Oh․Seungjun Lee․Gyoungmi Kim
초록:

본 연구는 광주 도로의 두 장소 간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찾기 위해 그래프 이론을 적용하고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연구는 광주 도로를 그래프로 만드는 것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실적인 조건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해 신호등 대기시간을 변수로 포함했다. 대전광역시의 신호등 데이터를 참고하여 평균 대기 시간을 36.84초로 설정했다. 또한, 어린이 보호구역의 경우 속도 제한을 30km/h로 낮아지는 설정을 추가하여 모델의 현실성을 높였다. 이 연구는 실제 변수들을 반영하도록 수정된 알고리즘이 경로를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연구에서 차선 수, 교통 밀도, 교통 패턴의 추가 변수를 포함하여, 다른 도시에도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본 연구는 교통 상황을 더 정확히 반영하고 네비게이션 모델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제어: 그래프, 가중치 그래프, 최단 거리 알고리즘, Dijkstra Algorithm

  • 번호: 2014
  • 연도: 2024
  • 분야: 수학
  • 연구주제: 5차 다항식 탐구-아벨과 갈루아 정리 조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5차 다항식 탐구-아벨과 갈루아 정리 조사 연구주제 영문:Investigation of 5th Degree Polynomial Exploration-researching Abel and Galois Theorems
작성자 국문:김유진․배수연․이현창 작성자 영문:Kim yoojin․Bae suyeon․Lee hyunchang
초록:

갈루아와 아벨은 젊은 나이에 죽은 천재 수학자들이다. 이들이 증명한 5차 또는 그 이상의 일반 다항식의 근의 공식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내용은 수학 발달에 크게 기여하였다. 아벨의 증명은 수학적 사고의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였으며, 갈루아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더구나 갈루아의 정리는 현대대수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체와 군으로 대응시키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다. 이들이 어려운 환경 중에서 발견한 수학적 업적을 이해하는 것은 학교 수학에서 접할 수 없는 수학적 사고력 및 탐구력의 증진에 아주 중요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갈루아 이론 탐구를 위해 먼저 아벨 이론을 연구한 후 아벨 이론을 바탕으로 갈루아 이론을 탐구해보았다. 우리는 갈루아 정리에 대한 5차 다항식의 근에 대해 탐구가 끝난 후 Bring-Jerrad 형식을 공부하고 갈루아 이론을 이용해 탐구해보았다. 군론, 아벨과 갈루아 이론, Bring-Jerrad 형식을 공부하며 계산과 문제풀이 위주의 수학이 아니라 증명을 통한 수학의 진미를 경험할 수 있었다.

주제어: 아벨 정리, 갈루아 정리, 군, Bring-Jerrad 형식

  • 번호: 2013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GSK-3β 억제제를 통한 근감소증 치료 약물 개발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GSK-3β 억제제를 통한 근감소증 치료 약물 개발 연구주제 영문:Development of therapeutic drugs for muscle wasting using GSK-3β inhibitors
작성자 국문:양하람․신재현․임유영 작성자 영문:Shin Jaehyun․Yang Haram․Lim Youyoung
초록:

본 연구는 GSK-3β 억제제를 활용하여 근감소증 치료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근감소증은 노화에 따라 근육 기능과 질량이 감소하는 질환으로, 현재의 치료법은 증상 완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본 연구는 배양 세포(C2C12)에 대한 GSK-3β 억제제인 LiCl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SK-3β 억제제인 LiCl을 활용하여 근감소증 치료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C2C12 세포를 배양한 후, MTT 분석, 유전자 발현 분석, Western Blot 및 면역형광염색을 통해 LiCl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LiCl 처리 후 미토콘드리아 활성 증가와 근육 분화 마커인 MYH2의 발현 증가, 그리고 근육 위축 마커인 FOXO3a, Atrogin-1, MuRF-1의 발현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GSK-3β 억제에 의한 근감소증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 향후 동물 모델을 통해 구체적
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근감소증 치료제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주제어: 근감소증, 근위축증, LiCl, 저분자 화합물, GSK-3β

  • 번호: 2012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CRISPR/Cas9 유전자 가위를 사용해 PAUF 유전자를 제거한 새로운 형질의 세포주…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CRISPR/Cas9 유전자 가위를 사용해 PAUF 유전자를 제거한 새로운 형질의 세포주 제작 및 이를 통한 난소암 치료방안 모색 연구주제 영문:Production of a new cell line with the knock-out of PAUF gene using CRISPR/Cas9 gene editing technique and exploration of an ovarian cancer treatment strategy through this approach
작성자 국문:김보성, 박우진, 조수빈 작성자 영문:
초록:

본 연구는 난소암의 낮은 생존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RISPR/Cas9 유전자 가위를 활용하여 PAUF 유전자를 제거한 새로운 형질의 세포주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난소암 치료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PAUF는 난소암 세포에서 과발현되는 단백질로 암의 전이와 성장을 촉진하며, 면역 억제와 회피를 유도하고 암세포의 이동성과 침투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험에서는
PAUF의 gRNA를 포함하는 CRISPR-Plasmid를 SK-OV-3 세포주에 transfection 하여 배양한 뒤 FACS를 통한 Cell Sorting, Western Blot을 거쳐 세포주의 PAUF 발현 활성을 확인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PAUF 유전자 편집이 난소암 세포주에서 암세포의 이동성, 침투성, PD-L1 발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난소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주제어: CRISPR/Cas9, PAUF, 난소암, 유전자 편집, 암 전이

  • 번호: 2011
  • 연도: 2024
  • 분야: 물리
  • 연구주제: 자성유체를 적용한 다자유도 구형 모터에 대한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자성유체를 적용한 다자유도 구형 모터에 대한 연구 연구주제 영문:A Study on the Multi Degree of Freedom Spherical Motor with Magnetic Fluid
작성자 국문:양주헌․오세민․이인혁 작성자 영문:A Study on the Multi Degree of Freedom Spherical Motor with Magnetic Fluid
초록:

본 연구는 다자유도 구형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해 자성유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 모터 시스템은 여러 모터와 기어의 조합으로 인해 부피가 크고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공극에 자성유체를 주입하여 자속 밀도를 증가시키고 모터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 과정에서는 1세대와 2세대 스피리컬 모터 모형을 제작하여, C자형 코어 사이 공극에 자성유체 유무에 따른 자기력을 측정하고, 이를 이론값과 비교하였다. 1세대 모형은 초기 설계 검증을 위해 단순화된 구조를 채택했으며, 2세대 모형은 스피리컬 베어링을 도입하여 회전자의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연구 결과, 자성유체를 적용한 다자유도 구형 모터가 휴머노이드 로봇 관절 등 고정밀 구동이 필요한 분야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성유체의 최적 주입 방법과 모터 내부 패킹 기술을 개선하여 실용화를 목표로 할 예정이다.

주제어: 모터, 스피리컬 모터, 자성유체, 공극

  • 번호: 2010
  • 연도: 2024
  • 분야: 물리
  • 연구주제: 레이저 플라즈마의 발생과 진단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레이저 플라즈마의 발생과 진단 연구주제 영문:Generation and diagnostics of laser-induced plasma
작성자 국문:조신우․정효민․이준한 작성자 영문:JO SIN U․JEONG HYOMIN LEE․JUNHA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플라즈마 발생 및 진단 기술을 탐구하였다. 기존 가속기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레이저 플라즈마 가속 (LWFA) 연구의 기초 단계로, Nd:YAG 레이저를 사용하여 공기 중에서 플라즈마를 형성하고, 마하-젠더 간섭계를 활용해 전자 밀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플라즈마의 개념과 레이저-플라즈마 상호작용에 대한 이론적 학습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대학 연구실에서 광학 장비 및 간섭계의 기초 사용법을 익힌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레이저 펄스에 의해 형성된 플라즈마의 시간에 따른 전자 밀도 변화를 성공적으로 측정하였으며, Abel 역변환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플라즈마의 공간적 밀도 분포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레이저 플라즈마 가속 연구의 기초적인 실험 방법을 익히는 데 중요한 경험이 되었으며, 향후 초강력 레이저를 이용한 고에너지 입자 가속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레이저 플라즈마, Nd:YAG 레이저, 플라즈마 밀도, Mach-Zehnder 간섭계,

  • 번호: 2009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프러시안 블루 유사체 MOF의 수계 내 CO₂선택적 흡착 특성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프러시안 블루 유사체 MOF의 수계 내 CO₂선택적 흡착 특성 연구 연구주제 영문: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2 Selective Adsorption of Prussian Blue Analogue MOFs in the Water System
작성자 국문:조은우․김준영․최한성․허승빈 작성자 영문:Jo Eun-woo․Kim Jun-young․Choi Han-seong․Heo Seung-been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해양 산성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러시안 블
루 유사체를 기반으로 한 금속-유기 골격체를 합성하고, 대기 중, 수계 내에서 CO₂ 흡착 성능을
평가하였다. 기존 PBA의 수중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A 개질된 다공성 물질을 지지체로 사
용하였다. PBA의 특성은 UV-Vis와 XRF, FT-IR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CO₂ 흡착능은 대기 및
수계 내 환경에서 CO₂ 농도 센서와 전기 전도도 센서를 통해 각각 정량하였다. AA 개질시 더욱더
높은 수중안정성을 가지며, 대기 중에서 표면 개질된 황토 지지체 흡착제가 가장 높은 흡착능을 보
였으며, 수계 내에서 표면 개질된 활성탄 지지체 흡착제가 가장 높은 흡착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MOF(Metal-Organic Framework), PBA(Prussian Blue Analogue), 이산화탄소(CO₂), 흡착

  • 번호: 2008
  • 연도: 2024
  • 분야: 화학
  • 연구주제: 실리카 내 형성된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의 고체 상태 하 할로젠 교환 동역학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실리카 내 형성된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의 고체 상태 하 할로젠 교환 동역학 연구주제 영문:Solide-state halide exchange dynamics of perovskite quantum dots in silica matrix
작성자 국문:노현우.이연우.최민준 작성자 영문:Noh Hyeon-woo․Lee Yeon-woo․Choi Min-jun
초록:

페로브스카이트는 최근 연구된 발광체이다. 수용액 상태의 페로브스카이트는 가공과 보관, 활용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어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페로브스카이트 퀀텀닷(PQD)이 발광체로서의 성질을 띤다는 것에 착안하여 고체 페로브스카이트 제작을 통한 디스플레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먼저 수용액 상의 페로브스카이트를 제작하고, 상온에서 굳혀 고체상의 페로브스카이트를 제작한다. 그 후 가열한 뒤 Duetta로 흡·형광도를 측정하였고, 고체 PQD MAPbI₃, MAPbBr₃, MAPbCl₃를 접합한 시료의 annealing 시간별 흡광도, 파장 변화를 통해 고체 PQD에서의 할로젠 교환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소자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밝혔다.

주제어: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할로젠 교환 반응, 흡·형광, 디스플레이/발광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