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헤더 및 전체메뉴 건너뛰기

연도별 연구과제 18 페이지첫페이지로 이동

자료실

성과공유

탭 버튼을 선택하면 분야별로 볼 수 있습니다.

연도별 연구과제

전체 글 수: 2,427 현재 페이지: 18
  • 번호
  • 연도
  • 분야
  • 연구주제
  • 초록보기
  • 원문
  • 번호: 2223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알츠하이머병 가설의 탐구를 위한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모델 제작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알츠하이머병 가설의 탐구를 위한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모델 제작 연구주제 영문:Creation of a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model to explore the hypothesis of Alzheimer‘s disease
작성자 국문:최동현․김아현․윤하민․김수빈 작성자 영문:Choi Dong-hyun․Kim Ah-hyun․Yoon Ha-min․Kim Su-bin
초록:

이 연구는 기존 알츠하이머 연구가 가지는 공통적인 문제를 지적하고 그 문제를 보완하고자 계산 화학 분야에서 이용되던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체실험을 하지 않고도 연구를 진행할 수있음을 보이고 실제로 기존 가설에서 제시된 요인들이 알츠하이머 발병에 얼마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한다.

  • 번호: 2222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아두이노를 활용한 매운맛 성분별 매운맛 감소 정도 비교 분석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연구주제 국문:아두이노를 활용한 매운맛 성분별 매운맛 감소 정도 비교 분석 탐구 연구주제 영문:Th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ungency Reduction by Spicy Ingredients Using Arduino
작성자 국문:이은찬․정지예․조은호 작성자 영문:Eun-Chan Lee․Ji-Ye Jung․Eun-Ho Jo
초록:

본 연구는 매운맛이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고려하여 매운맛을 유발하는 물질의 농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조건을 탐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순수한 캡사이신, 피페린을 직접 섭취 하는 대신, 구강 환경을 모방하는 장치를 개발하여 매운맛 물질의 농도에 저작 운동과 음료 종류가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다양한 음료를 캡사이신, 피페린이 포함된 시료에 투입하고, 저작 속도에 따른 매운맛 물질의 농도 변화를 HPLC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음료 종류와 저작 속도에 따라 매운맛 물질 농도 감소에 차이가 발생했으며, 일부 시료에서는 예상과 다른 결과도 확인되었다. 본연구는 매운맛 감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매운 음식 섭취가 어려운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 다.

주제어: 캡사이신, 피페린, 매운맛, 아두이노

  • 번호: 2221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대구 껍질의 펩타이드 성분을 이용한 칼슘 이온 선택성 전극(Ca ISE) 만들기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대구 껍질의 펩타이드 성분을 이용한 칼슘 이온 선택성 전극(Ca ISE) 만들기 연구주제 영문:Making a calcium ion selective electrode (Ca ISE) using peptide components from cod skin
작성자 국문:전건하․남건우․윤나림 작성자 영문:
초록:

대구껍질에서 추출한 펩타이드 성분을 활용해 칼슘 이온 선택성 전극(Ca ISE)을 제작하고, 다양한 완충용액에서 칼슘 이온 농도와 전위의 관계를 분석한다. 펩타이드는 NaOH, HCl 처리 과정을 거쳐 추출하며, 흑연과 혼합해 전극을 제작한다. Hartmann's Solution에서 칼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혈액 내 칼슘 이온 농도 측정 가능성을 제시한다.

  • 번호: 2220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공압실린더와 발전제동을 이용한 표지 구조물의 안정성 향상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공압실린더와 발전제동을 이용한 표지 구조물의 안정성 향상 연구 연구주제 영문:Research on improving the stability of sign structures using pneumatic cylinders and power generation braking
작성자 국문:조재환․우현민․전병찬 작성자 영문:Jo-Jae Hwan․Woo Hyeon Min․Jeon Byung Chan
초록:

본 연구는 강풍 및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도로 표지판 및 간판의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댐퍼를 이용한 진동 감쇠 장치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표지 구조물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견딜 수 있는 댐퍼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인명 피해 및 재산 손실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연구 과정에서 공압실린더와 발전 제동 장치가 각각 댐퍼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실험을 통해 각 장치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공압실린더는 진동 감쇠 효과를 제공하였지만, 구조 물의 안정성 문제를 야기했지만, 발전 제동 장치는 안정적으로 진동을 줄여 표지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주제어: 현수식 표지 구조물, 감쇠 작용, 공압실린더, 발전제동, 아두이노

  • 번호: 2219
  • 연도: 2024
  • 분야: 융합
  • 연구주제: 객체 탐지 프로그램을 활용한 미세플라스틱이 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객체 탐지 프로그램을 활용한 미세플라스틱이 암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탐구 연구주제 영문:Exploring the effect of microplastics on the growth of cancer cells using an object detection program
작성자 국문:김하나․나서진․정나연 작성자 영문:Kim Ha-na․Na Seo-jin․Jung Na-yeon
초록:

본 연구는 나노 및 미세플라스틱이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cell
counting 방법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HeLa와 나노플라스틱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위해 SEM
을 통해 세포와 플라스틱의 크기를 비교하고, 로지스틱 방정식과 회귀분석을 통해 미세플라스틱 농도에 따른 세포 증식률과 환경수용력을 추정했다. 세포배양을 직접하여 미세플라스틱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방정식 추정결과와 비교해보았으며 인공지능 기반 세포 카운팅과 직접 카운팅 방식을 비교해 시간 효율성과 정확성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인공지능 방법이 더 높은 효율성을 보였으며, 미세플라스틱이 암세포의 성장을 돕는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암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여 암 예방 및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미세플라스틱의 생물학적 영향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학문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번에 개발한 인공지능이 세포수를 counting 하는 기계보다 값싸고 편리하게 다양한 연구에서 적용되기를 바란다.

주제어: HeLa Cell, 객체인식, 로지스틱 방정식, 미세플라스틱

  • 번호: 2218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항균력을 갖춘 합성 나노 셀룰로스 복합 필름및 식품 포장지 제작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항균력을 갖춘 합성 나노 셀룰로스 복합 필름및 식품 포장지 제작 연구주제 영문:Production of synthetic nanocellulose composite film and food wrappers with antibacterial power
작성자 국문:김수빈․노영림․추지오 작성자 영문:Kim Subin․Noh Yeongrim․Choo Jio
초록:

이 연구는 일회용 플라스틱 포장재의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고, 식품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항균 성질을 가진 생분해성 포장재 개발을 목표로 한다. 나노 셀룰로스를 기반으로 항균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필름을 제작하고, E. coli와 황색포도상구균을 이용하여 제작한 필름의 항균 효과를 확인 하였다. 실험 결과, 감초 추출물 혼합 필름이 가장 높은 항균성과 소수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포장지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나노 셀룰로스 필름은 생분해성이 높아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으며, 포장 식품의 유통과 안전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나노 셀룰로스, 필름, 항균효과, 항균 물질, 생분해성

  • 번호: 2217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스파이스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 및 암세포 사멸 평가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스파이스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 및 암세포 사멸 평가 연구주제 영문:Evaluation of antioxidant effect and cancer cell death using spice
작성자 국문:김민주․김소현․류현지 작성자 영문:Kim Minju․Kim Sohyeon․Ryu Hyeonji
초록:

국문 초록: 향신료는 오래전부터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왔다. 과거에는 향신료를 얻기 위해 ‘향신료 전쟁’이 일어났었고 현대에도 여러 향신료들이 들어간 음식인 ‘마라탕 열풍‘이 일어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렇듯 향신료가 오랜 시간 동안 사랑을 받는 데에는 분명 과학적 이유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고 실제로 항신료의 여러 효능 및 효과는 현재에 들어 계속해서 입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향신료들로 DPPH test와 WST-1 assay를 진행하여 향신료들의 항산화 및 항암 효과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다.

주제어: 향신료, 항산화, 세포 사멸

  • 번호: 2216
  • 연도: 2024
  • 분야: 생물
  • 연구주제: 버려지는 구황작물 껍질을 이용한 생활 속 문제해결 방법 탐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버려지는 구황작물 껍질을 이용한 생활 속 문제해결 방법 탐구 연구주제 영문:Exploring ways to solve everyday problems using discarded famine crops husks
작성자 국문:김태은․김태성․고진헌․이승훈 작성자 영문:Kim tae eun․Kim tae sung․Go jin hun․lee seung hoon
초록:

연구를 계획하게 된 것은 음식물이 무분별하게 버려지고 있다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탄소 배출 량의 8-10%를 음식물 쓰레기가 차지한다고 한다. 따라서 버려지는 구황작물을 활용, 생활 속 문제 해결 방안을 탐구하였다. 연구 초기에는 실험에 활용할 구황작물 선택, 추출물 제작 방법 등을 연구 하였다. 또한 어떻게 하면 구황작물에서 항산화 물질을 최대한 추출할 수 있을지 고민하였다. 그렇게 하여 우리는 자색고구마의 보관 상태, 추출물의 농도, 에탄올의 농도를 다르게 하여 가장 효과적인 항산화 정도를 나타내는 상태를 파악하려 노력하였고,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검사 결과, 보관 상태에서는 얼린 껍질이, 추출물 농도에서는 2g/40ml가 에탄올 농도는 70%에서 가장 높을 항산화 수치를 보였다. 또한 오랜 기간 방치된 고구마들의 처리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 2달 동안 실온에서 보관하여 고구마에 싹이 난 개체 또한 추출물을 만들어 항산화 수치를 측정했고 약 80% 항산화 수치가 나왔다. 항산화 수치 이외에도 사용 방안을 찾기 위해 디스크 확산법을 통한 항균 효과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고 자색 고구마 추출물에 항균 효과가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 번호: 2215
  • 연도: 2024
  • 분야: 물리
  • 연구주제: R&E 회전 펌핑 기구에서의 효율 증가를 위한 요인에 관한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R&E 회전 펌핑 기구에서의 효율 증가를 위한 요인에 관한 연구 연구주제 영문:A Study of the Factors for Increasing Efficiency in Rotary Pumping Instruments
작성자 국문:정훈․황동혁․박현서․조현근 작성자 영문:Ryu jeong hun․Hwang Donghyuk․Park Hyunseo․Cho hyeongeun
초록:

본 연구는 회전 펌핑 기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조작 변인들이 펌핑된 물의 양에 미치는 영향을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결론에 관한 원인을 탐구하여 효율성 증진에 더욱 기여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펌핑 기구를 설계하고, 이 기구의 효율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탐구하였다. 또한, 이 실험은 빨대로 대체하여 변인들이 펌핑 기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연구에서는 빨대의 길이, 각도, 폭, 그리고 회전축에 장착된 정삼각형의 개수를 조작 변인으로 설정 하여, 각 변인이 펌핑 기구의 펌핑시키는 물의 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건에 따라 효율이 가장 높은 조건을 그래프의 경향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구의 설계에서 각 조작 변인을 최적화함으로써 회전 펌핑 기구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게 했다. 이를 통해 농업,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설계에 기여할 수 있다.

주제어: 원심력, 스프링클러, 회전

  • 번호: 2214
  • 연도: 2024
  • 분야: 물리
  • 연구주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출입을 인식하는 장치 설계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출입을 인식하는 장치 설계 연구주제 영문:Design access-aware device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작성자 국문:박민서․신성준 작성자 영문:Minseo Park․Seong jun shin
초록:

대기 전력으로 인한 전력 소모는 전체 전력 소모 중 10%를 차지한다. 전력을 생산하는데 많은 화석 연료를 사용하게 되고, 그를 통해 환경 오염이 된다. 그렇기에 대기 전력 또한 환경 오염에 일조하는 존재이다. 그렇기에 이를 효율적인 출입을 인식하는 장치를 통해 억제해보려고 한다.

주제어: 대기전력, 아두이노, 센서, 전력 소모, 트랜지스터

  • 번호: 2213
  • 연도: 2024
  • 분야: 물리
  • 연구주제: R&E 캐터필러를 활용한 오프로드용 롤러블레이드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R&E 캐터필러를 활용한 오프로드용 롤러블레이드 연구주제 영문:Off-road Roller Blade with Caterpillar
작성자 국문:이어진․이동언․김재후 작성자 영문:Lee Eo-jin․ Lee Dong-eon․ Kim Jae-hoo
초록:

이 연구는 오프로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한 롤러블레이드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롤러블레이드 바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캐터필러 바퀴를 적용한 새로운 디자인을 제안하였으며, 다양한 재질로 3D 프린팅한 바퀴를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캐터필러 바퀴를 적용한 롤러블레이드가 불규칙한 지면에서도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하지만, 기존 바퀴보다 조금 떨어지는 방향 조절과 속도 제어 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오프로드 주행 중 발생할수 있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프로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롤러블레이드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 된다.

주제어: 캐터필러, 오프로드, 롤러블레이드

  • 번호: 2212
  • 연도: 2024
  • 분야: 공학
  • 연구주제: 지오데식 돔을 활용한 구형 LED 디스플레이 제작 연구
  • 초록보기: 초록 보기
  • 파일: 다운로드
연구주제 국문:지오데식 돔을 활용한 구형 LED 디스플레이 제작 연구 연구주제 영문: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Dome-type LED Display Using Geodesic Dome
작성자 국문:김연우․류경민․설보민 작성자 영문:Kim Yeon-woo․Ryu Kyung-min․Seol Bo-min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MSG 돔 디스플레이에서 착안하여 고등학생 수준에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돔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4D 프레임을 활용해 8V 지오데식 돔을 설계 하고, 아두이노와 Addressable LED를 사용해 특정 위치의 LED를 제어하였다. 돔 제작 과정에서 3D 프린팅 오류와 설계 문제를 개선하며, Sketchup Pro를 이용해 부피를 가진 돔을 성공적으로 모듈화 했다. 이 구형 디스플레이는 프리퀀시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크기 조절이 자유롭다. 따라서 몰입형 학습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전시회 및 과학관에서도 시뮬레이션 도구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지오데식 돔, 디스플레이, 모듈화, 아두이노, Adressable 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