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개털이끼, 솔이끼, 큰잎덩굴초롱이끼를 채집하여, 각 이끼의 잎, 줄기로부터 총 16 균주, 우산이끼에서 5균주, 솔이끼에서 7균주, 큰잎덩굴초롱이끼에서 4균주를 분리했다. 솔이끼에서 단위 개체수 당 가장 많은 내생균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우산이끼, 큰잎덩굴초롱이끼는 그 수가 동일했다. PDA 배지, WA 배지, 항생제를 첨가한 PDA 배지에 이끼를 배양하였고, 자라나온 균사를 항생제를 첨가한 PDA 배지에 순수 분리 후 배양하였다. 순수 분리한 배지를 보고 형태학적으로 종을 비교한 결과, 균주 20S-14, 20S-20, 20S-26, 20S-27는 동일 종, 20S-36, 20S-39는 동일 종, 나머지는 모두 다른 종으로 판단하였다. 분리한 16균주 중 3균주, 20S-25, 20S-56, 20S-62는 Per identity가 95%를 넘는, 종명까지 결정된 내생균이 없어 미기록 종으로 판단했다. 종 동정 결과, 미기록 종과 박테리아를 제외한 총 12균주에 대하여, 우산이끼에서 분리한 5개의 균주 중, 박테리아를 제외한 4균주는 미기록 종 1개체 (20S-56)과 Cercophora thailandica 1개체, Coniochaeta velutina 2개체로 동정했다. 큰잎덩굴초롱이끼에서 분리한 4개의 균주는 미기록 종 1개체(20S-62)과 Annulohypoxylon truncatum 1개체, Daldinia childiae 1개체, Nemania diffusa 1개체로 동정했다. 솔이끼에서 분리한 7개의 균주는 미기록 종 1개체(20S-25), Cercophora thailandica 1개체, Coniochaeta velutina 3개체, Xylaria longipes 1개체, Rhizochaete radicata 1개체로 동정했다. DNA sequencing 결과를 바탕으로 MEGA 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내생균 다양성 방면에서 솔이끼가 가장 높았고, 큰잎덩굴초롱이끼, 우산이끼 순으로 높았다.
▪ 주제어: 이끼, 내생균, 형태학적 동정, 분자생물학적 동정, 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