탭 버튼을 선택하면 분야별로 볼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생강의 항산화능을 측정하여 항산화를 촉진시키는 효소인 리폭시게나아제의 저해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항산화능이 뛰어나고 주변에서 구하기 쉽다는 조건에서 생강을 선택하였고, 열수 및 초음파 추출법을 통하여 생강을 추출하고 2차적인 증류를 통하여 생강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DPPH, NO radical, α-glucosidase 실험을 통하여 시료를 만들고 흡광도를 측정한 후, 저해율 계산식을 대입하여 생강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소화효소 억제 정도를 알아보았다. 최종적으로는 리폭시게나아제 시약 실험을 통하여 리폭시게나아제 단백질 저해 정도에 관하여 연구했다. ▪ 주제어: 생강, 항산화능, 소화효소억제, 리폭시게나아제
본 연구에서는 Eyetracking 기술과 광고 가격의 책정을 융합하여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인터넷 사이트 광고 비용의 최적화를 연구한다. Eyetracking을 통해 소비자들의 나이, 성별, 직종에 따라 어떤 광고에 더 관심을 가지는지, 광고에 어떤 요소에 더 중심을 두는지 등을 알아볼 것이다. 또한, 광고 노출 맥락 중 경쟁 가설의 상황과 비경쟁 가설의 상황에 대해서 각각 소비자들의 관심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광고를 제작할 때 광고 모델, 제품, 브랜드, 메시지의 비중 분배를 적절히 하여 광고를 통한 수익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 주제어: Eye tracking, CPP (Cost per period), POG (Point of Gaze)
본 연구에서는 쌈채소 상재균의 유해균 방어기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쌈채소에 서식하는 균을 계대배양을 통해 100여 가지 추출하였다. 상재균의 항균 물질을 분비를 알아보기 위해 쌈채소 표면 및 내부 상재균 배양 상등액으로 paper disk법을 진행한 결과, 특별한 항균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반 도말법’을 진행한 결과, 4가지 상재균으로부터 길항작용이 관찰되었고, 나아가 이의 원인 분석을 정족수 감지 물질의 분비와 배양 환경(pH, 염분, 온도)에 따른 우세 균주 차이로 나누어 각각 paper disk 법과 ‘반반 도말법’으로 실험한 결과 특정 배양 환경에 있어 상재균 또는 Vibrio Alginolyticus가 생장 정도가 나머지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종적으로 PCR을 통한 DNA 분석으로 상재균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 주제어: 상재균, 쌈채소, 유해균, 방어기작, 길항작용
본 연구는 농작물에게 기생피해를 주는 식물인 새삼이 숙주식물의 생장 및 방어시스템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애기장대를 숙주식물로 하여 새삼을 흡착시킨 애기장대(실험군)와 대조군에서, 선별한 8 개의 유전자에 대하여 나타나는 mRNA 발현량을 비교하였다. 새삼이 흡착하고 일주일 후, 3주 후 총 두 번의 sampling을 하였고, 추출한 샘플의 total RNA를 추출하고, cDNA 합성 후, real-time PCR을 진행하여 상대정량 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생장 관련 유전자는 새삼을 흡착시킨 애기장대에서의 발현량이 더 많았고, 방어시스템 관련 유전자는 유전자의 종류, 애기장대의 부위, 그리고 새삼이 흡착한 기간에 따라서 발현량 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새삼이 숙주식물에 흡착하여 유전자 발현량의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가 실험을 통해 더욱 자세한 매커니즘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주제어: 새삼, 애기장대, 기생식물, 식물의 방어 체계, 유전자 발현 조절
형성층 유래 줄기세포 CMCs (cambium meristematic cells)로부터 식물을 유도할 경우, 배양 조건에 따라 특정 물질 군의 함량, 효능 등의 최적화가 가능하며, 특정 분화 및 배양 조건이 확립에 따라 재현 및 대량화가 가능하다. 본 연구는 향기를 내는 식물에 집중하여 향기가 곱고 매력적인 우수한 천연향을 내는 백리향으로부터 CMCs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기존과 같이 작은 조직 절편을 잘라 배지에 기르는 과정 이전에, 먼저 줄기세포를 충분하게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통제된 조건 하에서 수경재배를 실시한 후, 조직을 잘라 배지에 옮기는 과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의 통제를 위해 항균 및 항생제의 사용과 표면멸균법을 개선하였다. 본 실험에서 개선된 방법을 통해 일반 캘러스와 함께 embriogenic callus(=CMCs)로 추정되는 세포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 세포의 형태적 특성 관찰과 현탁배양을 통한 증식을 수행하였다. CMCs 세포주는 향기물질과 같은 2차대사산물의 생산에 높은 효용성을 가지므로, 분리한 세포의 CMCs 검정과 전형성능의 검정과정을 거쳐 높은 실용 가능성을 기대한다. ▪ 주제어: CMCs, 백리향, 천연 향, 이차대사산물
식물은 독립영양생물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움직이지 못하기에 외부자극에 취약하다. 하지만 이러한 식물은 균류와 공생하며 그러한 자극으로부터 벗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버섯류로 잘 알려진 외생균근과의 상호작용과 그에 따른 결과를 도출한다. 연구 진행을 위하여 사용될 외생균근 4종류를 계대배양 받아 보관하였다. 또, 균류와 공생할 식물인 담배와 외생균근이 식물의 방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복숭아혹진딧물과 담배짓무름병을 야기하는 병원균을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후 앞서 배양한 4개의 외생균근 중 광대버섯속과의 휘발성 물질이 담배짓무름병 중증도를 낮춤을 확인하였으며, 해당 휘발성 물질이 진딧물의 증식 또한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외생균근은 식물에 단순히 기생하는 것이 아닌, 식물의 방어체계를 구성시켜줌을 알 수 있었다. ▪ 주제어: 식물-미생물 상호작용, 휘발성물질, 식물유도저항성
본 연구는 동물과 식물 세포에 스테로이드 약물을 처리하여 일어나는 히스톤 메틸화와 아세틸화 촉진 및 억제 현상에 대해 후성유전학적인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식물 모델은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와 담배(Nicotiana benthamiana)를, 동물 모델은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를 사용하였고, 스테로이드 약물은 덱사메타손과 트리코스타틴 A를 사용하였다. 24시간, 72시간 동안 세포에 스테로이드를 처리한 이후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아세틸화 및 메틸화가 일어난 히스톤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세포에서 스테로이드 약물에 의한 히스톤의 메틸화 정도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담배에서는 히스톤 아세틸화의 변화 또한 일어나지 않았으나 애기장대와 MCF-7 세포에서는 각각 덱사메타손과 트리코스타틴 A에 의한 히스톤 아세틸화 정도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즉, 동식물 세포의 종류, 스테로이드 약물의 종류 및 처리 시간에 따라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스테로이드 약물은 동식물 세포의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주는 요인이며, 스테로이드 약물의 분자적 기전과 관련된 후성유전학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주제어: 후성유전학, 히스톤 아세틸화, 스테로이드, 애기장대, MCF-7 인간 유방암 세포
본 연구는 자연에서의 유전자의 수평적 이동(conjugation)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자연 상태의 microbiome의 유전적 성질의 조작을 목표로 한다. 유전자 조작, 형질 전환과 같은 인공적인 유전적 변형이 아닌 자연적 방법을 이용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활용하여 식물 생장에 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는 microbiome을 인위적인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조작하며 미생물의 유전적 조작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증진하려 한다.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그람 양성균인 고초균(Bacillus subtilis)과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간의 접합을 PCR과 형광 현미경을 통한 GFP 형광 단백질의 검출 확인, 최종적으로 시퀀싱을 통해 직접적으로 확인한다. 두 균의 접합을 시작으로 하나의 플라스미드 공여 미생물과 다양한 종의 수여 미생물 간 동시 접합을 진행하여 자연 상태의 microbiome 조작 가능성을 확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자연 상태에서의 미생물들의 유전적 상태를 이해하고 그 성질을 활용하여 인간에게 이롭게 이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평적 유전자 전달인 자연적 기법이 활용되고 더욱 발전 가능한 분야로 떠오르게 하려 한다. ▪ 주제어: Bacterial conjugation, microbiome, GFP 형광 단백질, 식물 생장 촉진
코로나-19 백신의 부작용으로 혈전 형성이 이슈가 되어 이에 대해 주목하여 혈전 용해 효과가 있는 물질들을 찾아 보게 되었다. 경구용으로 복용되는 치료제가 부족하다고 생각되었고, 동의보감에서 붓꽃 뿌리가 혈전 용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를 연구하게 되었다. 붓꽃 뿌리를 건조 및 잘게 잘 라 물, 메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헥세인에서 추출하였고, 회전감압농축, 진공원심농축, 동결건조 과정 을 거쳐 분말을 얻었다. 직접 제작한 피브린 플레이트에 paperdisk를 올리고 증류수, DMSO에 녹인 추출 결과물을 올려 혈전 용해 효과를 확인하였지만, 혈전 용해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혈전 형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지속하고 있 다. ▪ 주제어: 붓꽃, 혈전, 혈전 용해, 혈전 형성 억제
가시박(Bur cucumber, Sicyos angulatus (Miq.) Kitam.)은 생태계 교란 생물로 자생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여 생태계 균형을 교란하고 있다. 가시박의 덩굴성 생장으로 자생 식물의 생장을 교란하는 작용 외에도 화학 물질 분비에 의한 교란 작용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타감작용 효과를 검증하고 타감작 용의 정도와 교란 영향을 미치는 식물 목록을 구성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식물조직배양을 활용하여 가시박 추출물의 타감작용 효과를 확인하고 이종의 식물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 검증하고자 한다. 그 리고 이를 통해 타감작용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 가시박의 유해성을 확인하며, 생태계 교란을 예 방하거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가시박 추출액을 팽나무, 보리, 무, 완두, 상추 종자의 종자발아율시험에 적용하고, 당근 조직배양에 적용하여 타감작용의 유무와 작용 효과를 검증했다.
활성산소의 생산량 조절을 통한 생명체의 수명 연장 가능성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게 되어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활성산소는 세포호흡을 하는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이용하여 세포호흡 저해제를 통해 생명체 내의 활성산소의 양을 조절하였다. ROS 실험용 세포를 계대배양으로 증식시킨 후 세포호흡 저해제로는 말론산을 이용하였다. 트리판 블루 염색을 통해 생존 세포의 비율을 구하고, 형광현미경을 통해 발생한 활성산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트리판 블루로 염색산 세포를 관찰 결과, 말론산의 농도가 적절할 때 세포가 가장 수명이 길었다. 형광현미경을 통한 분석은 키트 사용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여 실시하지 못하였다. ▪ 주제어: 활성산소, 수명 연장, 세포호흡, 저해제, 노화 방지
covid-19가 사회에 주고 있는 큰 영향력으로 인해서 백신 개발 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한 상황에서 면역반응의 매커니즘을 확인해보고 내독소의 종류 및 처리량에 따른 면역반응의 정도와 항염증 효과를 비교해보기 위해서 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RAW 264.7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서 배지를 제작하고 배양한 후에 세포를 염색하고 혈구계수기를 통해 세포의 수를 세서 농도를 맞춰준 후에 계대배양을 하여 세포의 수를 늘리는 과정을 진행했다. 본래 배양을 마무리한 후에 RNA를 추출하고, cDNA를 합성한 후에 RT-PCR을 실행하고 전기영동을 하는 과정을 추후에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면역과정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백신 제작 연구에 대한 이해력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기대효과로 지닐 수 있다고 예상해볼 수 있다. ▪ 주제어: 대식세포 배양, LPS, 사이토카인, RNA 추출, RT-PCR